3분기 은행 부실채권비율 0.38%…9분기 연속 '역대 최저'

입력 2022-12-07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자료제공=금융감독원)

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이 2020년 3분기 이래 9분기 연속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다만 정부의 코로나19 금융지원 조치에 따른 지표 착시 가능성이 큰 상황이라 금융감독원은 은행의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지속해서 유도할 계획이다.

7일 금감원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0.38%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전 분기 말(0.41%)보다 0.03%포인트(p) 하락했다. 작년 동월 말(0.51%) 대비해선 0.13%p 줄었다.

9월 말 부실채권은 9조7000억 원으로, 전 분기 말보다 6000억 원 감소했다. 이 중 기업여신이 8조 원으로 전체 부실의 82.8%를 차지했고, 가계여신이 1조5000억 원, 신용카드 채권이 1000억 원이었다.

올해 3분기 중 신규 발생한 부실 채권은 2조5000억 원으로, 2분기보다 1000억 원 증가했다.

기업여신 신규 부실이 이 가운데 1조8000억 원으로 전 분기보다 1000억 원 늘고, 가계여신 신규 부실은 전 분기보다 1000억 원 증가한 6000억 원이었다.

3분기 부실채권 정리 규모는 3조 원으로 같은 기간 2000억 원 늘었다.

신용손실에 대한 손실흡수능력을 나타내는 대손충당금 잔액이 꾸준히 늘면서 9월 말 기준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223.9%로, 전 분기보다 18.3%p 상승했다. 작년 동월 말과 대비하면 58.0%p 개선된 수치다.

은행권이 대내외 경제여건 악화에 대비해 손실흡수능력을 확충하고자 선제적으로 충당금 적립을 확대하면서, 대손충당금 적립률이 크게 늘었다.

다만 금감원은 부실채권비율의 하락이 정부의 소상공인 등 취약층에 대한 대출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 조치로 인한 지표 착시 가능성이 있다며 신용손실 확대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대내외 경제충격에도 은행이 건전성을 유지해 본연의 자금공급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지속해서 유도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내역을 분기별로 지속해서 점검하고, 연말 결산 시 충당금 적립이 미흡한 은행 등이 충분한 충당금을 적립하도록 지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