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전기차 충전 인프라 부족…교체식 배터리 추진해야”

입력 2022-11-28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기차 배터리 단점 ‘배터리 스왑핑’으로 극복
中, 일찍이 해당 방식 적용…각종 지원ㆍ투자
오는 2025년 시장 규모 약 18조 원 넘어설 듯
국내 도입 위해선 표준화 작업 등 선행 필요

▲전기차 배터리 스왑핑 산업 구도. (제공=한국무역협회)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속도가 전기차 보급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가운데 ‘배터리 스왑핑’(Swapping)이 해결책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28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표한 ‘전기차 배터리 스왑핑의 우리나라 도입 검토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전기차 시장에서는 부족한 충전시설, 긴 충전 시간, 폭발 화재 등 여러 과제가 산적해 있어 세계 각국이 충전 서비스 개선을 위한 다양한 기술과 인프라를 선보이고 있다.

배터리 스왑핑은 전기차 배터리 교환소에서 자동화 설비를 통해 미리 완충해 놓은 배터리를 2~3분 이내에 방전된 배터리와 교체해 주는 방식이다.

중국에서는 이미 이 방식이 보편화돼 있다. 작년 중국의 배터리 스왑핑 시장 규모는 45억 위안(약 8400억 원)으로 오는 2025년에는 1000억 위안(약 18조 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지난해 1406개였던 배터리 교환소 역시 2025년 3만 개까지 늘어난다.

반면 국내 전기차 누적 등록수는 2020년 13만5000대, 2021년 23만1000대, 올해 3분기 34만7000대로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충전기의 경우 올해 10월 말 기준 완속 충전기 15만8000기, 급속 충전기는 1만9000기에 불과하다.

무협은 “중국이 최초로 시작한 전기차 배터리 스왑핑에 주목하고 우리나라도 이를 도입해야 한다”며 “중국의 배터리 스왑핑 산업은 정부의 정책지원과 투자자본, 기술 개발에 힘입어 이미 고도화 단계에 진입했다”고 밝혔다.

▲2022-2025년 배터리 교체식 차량 시장규모 전망. (제공=한국무역협회)

중국 정부는 전기차의 빠른 확산에 따라 지난 2019년부터 배터리 스왑핑을 녹색산업으로 지정하고 배터리 구독제를 촉진하며 본격 육성에 나섰다. 이어 배터리 교체식 차량에 대한 보조금 지원(2020년), 안전표준 제정(2021년), 배터리 팩 기술표준 제정(2022년) 등에도 나섰다.

중국 내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는 상용차의 경우 2025년까지 연평균 98%씩 성장해 전체 신재생 상용차의 3분의 1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무협은 “배터리 스왑핑은 효율적인 국토 활용 및 전력망 관리, 배터리의 안정성 제고, 수명 연장, 폭발 위험 관리, 재사용ㆍ재활용 촉진 등의 장점이 있다”면서 “우리나라도 배터리 스왑핑 도입을 고려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배터리 스왑핑 방식의 장단점. (제공=한국무역협회)

특히 국내 배터리 스왑핑 도입을 위해서는 완성차 및 배터리 제조사, 배터리 교환소 운영업체, 폐배터리 재활용 기업 등 각 이해관계자를 망라한 얼라이언스 구축 선행뿐 아니라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전기차 설계, 배터리 규격 표준화가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다만 배터리 규격ㆍ결합 방식 표준화 작업 등에는 기업 간 전략적 의사 결정 및 대규모 자본투자가 필요한 만큼 대기업 중심의 비즈니스가 될 수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김희영 무역협회 연구위원은 “교환소에서 배터리 교체뿐만 아니라 자동차 점검ㆍ수리, 관련 부품 판매 등 서비스업과도 연계하여 대ㆍ중소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무협은 국내 배터리 스왑핑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도 제안했다. 김 연구위원은 “정부에서 완성차, 배터리, 재활용 관련 이해관계자와 배터리 스왑핑의 실현 가능성을 타진해야 한다”며 “표준화ㆍ효율화가 쉬운 택시ㆍ버스 등부터 시범사업을 추진해 미비점을 보완해 나간다면 신속한 사업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