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 北 ICBM 위협에 우주군사령부 창설한다

입력 2022-11-26 13:3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주한미군 우주군사령부, 연내 편제 예상
인태사령부 이어 미국 본토 밖 2번째

▲지난해 6월 미국 우주군 케이프커내버럴 기지에서 팰컨9 로켓을 발사하는 모습 (연합뉴스)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준에 이르자 주한미군이 우주군사령부를 설치한다.

2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국 국방부는 주한미군(USFK)에 우주군 구성군사령부(component command)를 설치할 계획이다. 주한미우주군(USSF)은 연말까지 편제를 갖출 것으로 알려졌다. 주한미군도 외기권으로 날아가는 비행체를 탐지·감시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방침으로 풀이된다.

미국은 주한미군 외에 중동지역을 담당하는 중부사령부에도 연말까지 우주군 구성군사령부를 창설할 계획이다.

주한미우주군은 미 본토 밖의 두 번째 우주군이 될 전망이다.

미군은 최근 발표한 국가안보전략(NSS) 등 전략문서에서 전 영역(All-Domain) 통합 억제를 구현하기 위해 인도-태평양 사령부뿐만 아니라 전투사령부에 우주군을 설치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달 창설된 인태우주군구성사령부 인원이 20여 명인 점을 고려하면 주한미우주군 규모는 그 이하로, 소규모로 출범할 것으로 보인다.

주한미군에 우주군 조직을 조기 신설하는 것은 미국이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과 러시아의 위협을 고려했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주한미우주군은 미국 우주군과 인태우주군구성군사령부와 C4I 체계로 연결해 북한의 ICBM 등 핵·미사일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전망이다.

미 우주군은 미국이 우주 공간에서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2019년 12월 창설한 군대로 위성 등 우주 자산 통제, 미사일 방어를 위한 탐지, 폐위성과 운석 대응 등 우주 감시 임무를 주로 수행한다.

현재 미 본토 밖 우주군사령부는 이달 22일(하와이 현지시간) 신설된 인태사 우주군 구성군사령부가 유일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