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돌봄서비스부터 상담까지’…관악구, 돌봄 사각지대 빈틈 메운다

입력 2022-11-07 18:0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관악구의 돌봄SOS센터 상담창구 모습. (자료제공=관악구)

서울 관악구는 긴급하게 돌봄이 필요하나 돌봐줄 가족이 없어 곤란을 겪는 대상을 지원하기 위해 2020년 8월부터 '돌봄SOS센터'를 운영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돌봄SOS센터는 일시재가와 단기시설 보호, 주거 편의, 동행 지원, 식사 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이웃 주민의 신고로 발견된 A 씨는 당뇨와 뇌전증이 심해 매우 허약한 상태로 발견됐다. 이에 돌봄SOS센터가 병원 동행, 일시재가 서비스를 지원해 위기상황을 피할 수 있었다.

서비스는 동 주민센터 내 ‘돌봄SOS센터 상담창구’를 통해 신청 가능하며 대상은 돌봄 공백이 우려되는 어르신(만65세 이상), 장애인(만6세 이상), 중장년(만50세 이상)이다.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인 대상은 무료이고 그 외는 본인 부담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올해는 현재까지 1600여 명의 주민이 3200건의 서비스를 이용했으며, 늘어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수혜자 중심의 돌봄SOS 서비스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올해 7월부터 시행한 식사 지원 내 ‘죽 서비스’는 병원퇴원 후 허약자, 치아소실, 위장질환을 앓고 있는 이용자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더. 이달부터는 ‘방문목욕차량 서비스’도 추가했다.

구는 위기가구 발굴·지원에도 나서고 있다. 지난 9월에는 ‘관악구 복지상담센터’를 열어 긴급상담 체계를 일원화했다.

관악구 복지상담센터는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직접 상담을 진행한다. 야간·공휴일에는 서울시 120다산콜센터와 구 종합상황실에서 인계한 내용을 익일 내 상담희망자에게 연락해 종합적으로 안내한다.

이외에 카카오톡 채널 ‘관악구 함께해요 복지톡’을 이용해 도움이 필요한 본인 또는 주변 위기 가구를 발견했을 때 복지서비스 상담을 받을 수 있다.

박준희 관악구청장은 "돌봄은 더는 개인이 짊어지고 가야 할 부담이 아닌 사회가 함께 안고 갈 사회적 문제다. 도움의 손길이 필요하거나 주변의 어려운 이웃이 있으면 돌봄SOS와 복지상담센터를 적극적으로 이용해달라"며 "앞으로 구는 더욱 촘촘하고 적극적인 복지 안전망을 구축해 더불어 행복한 관악 실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