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안펀드가 불안 잠재울까]①채안펀드 재개, 2008년 금융위 금정국팀 뭉쳤다

입력 2022-10-24 16: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주현 금융위원장·이형주 금융정책국장, 국장-총괄서기관으로 근무
채안펀드 현재 구조 정립…업계 “추가 캐피탈콜-채권 매입 서둘러야”

▲추경호(오른쪽 두번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 앞서 대화하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이투데이DB)
2008년 김주현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국 국장, 박영춘 금융정책과장, 이형주 금정과 총괄서기관은 머리를 맞대고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 구조를 정립했다. 글로벌 금융위기로 국내외 자금이 안전자산인 미국 국채로 집중됐던 때였다. 우량 채권 선호 분위기가 국내 시장의 유동성 위기를 촉발하면 결국 신용 위기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 금융위 금융정책국은 ‘AA- 이상’ 회사채를 매입하는 기준을 적용한 채안펀드를 설계했다.

14년이 흐른 현재 김주현 금정국장은 금융위원장으로, 이주형 총괄서기관은 금정국장으로 다시 만났다. 금융위는 24일 채안펀드를 재가동했다.

바로 전날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주재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결정됐다. 코로나19 확산 때 조성했던 3조 원 가운데 당시 채권 매입 후 남은 1조6000억 원으로 채권 시장의 자금 경색을 해소하겠다는 것이다. 3조 원에 해당하는 채안펀드 주관은 IBK자산운용이 한다. 종목별 하위 운용사로는 은행채(NH아문디·유진자산), 여전채(KB자산·하나UBS), 회사채(삼성자산·한국투자신탁), CP·전단채(멀티에셋자산·신한BNP자산) 등으로 구성됐다.

채권시장에서는 금융당국이 채안펀드 가동 계획을 발표한 것은 그나마 다행이라고 안도의 한 숨을 내쉰다. 그러나 규모에 대해서는 여전히 턱없이 작다고 지적한다. 강경태·장남현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즉시 투입하는 가용재원이 적고, 매입대상 증권의 등급 기준이 높기 때문에 실질적인 매입 효과는 작다”고 분석했다. 채안펀드 가동날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채안펀드는 큰 실익이 없다. 기업유동성지원기구(SPV) 등 한국은행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채권, 대출을 통해 자금을 조달한 기업들은 시장 불황 속에서 자금난 해소 방안을 찾으려 애쓰고 있다. 이달 23일부터 12월 말까지 자산유동화증권(ABS) 등을 모두 포함한 회사채 만기 규모는 117조5975억 원(금융투자협회 수치)이다. 올해 6월말 기준 기업들이 은행권에서만 빌린 자금(기업 여신) 규모는 1520조2755억8100만 원(한국은행 수치)이다. 1년 전(2021년 6월 말, 1340조2956억1000만 원)과 비교했을 때 13.4% 증가한 수치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추가 캐피탈콜을 거쳐 채권을 매입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채안펀드가 정책효과를 발휘하려면 조금 더 발빠른 대응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