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시스템, KAIST와 고해상도 초소형 SAR 위성 개발 협력

입력 2022-10-24 10:2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고해상도 초소형 SAR 위성 국산화 성공에 힘쓸 것"

▲한화시스템은 KAIST 인공위성연구소와 지난 18일 한화시스템 판교사업장에서 ‘초소형 SAR위성체 사업’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왼쪽부터 어성철 한화시스템 대표, 권세진 KAIST 인공위성연구소장. (사진제공=한화시스템)

한화시스템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공위성연구소(SaTRec)와 초소형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체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한화시스템은 고해상도 초소형 SAR 위성을 개발한다. 한화시스템의 초소형 SAR 위성 탑재체 및 체계종합 기술에 인공위성연구소의 소형 위성 분야 기술을 융합한다.

SAR는 공중에서 지상 및 해양에 레이다파를 순차적으로 쏜 후 레이다파가 굴곡 면에 반사돼 돌아오는 미세한 시차를 선착순으로 합성해 지상 지형도를 만들어내는 레이다 시스템이다. 레이다를 사용하기 때문에 주·야간 및 악천후에도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화시스템과 인공위성연구소는 세계 최고 수준급 고해상도 지구관측위성 분야 독자 기술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수차례 우주로 소형위성을 발사한 인공위성연구소의 경험을 통해 지상국 관제·수신 등 소형 위성 운영 분야와 우주 인증 분야에도 역량을 활용하기로 했다.

국방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다부처 소요로 추진 예정인 ‘초소형 SAR 위성 체계개발’ 사업은 고해상도 초소형 SAR 위성체와 운용 지상국 등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향후 초소형 SAR 위성이 운용되면 한반도 및 주변 지역에 대한 전천후 영상 정보 수집을 통해 이상기후에 따른 재난재해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군 정찰위성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권세진 KAIST 인공위성연구소장은 “이번 협력을 통해 대한민국 우주개발의 패러다임 체인지를 선도하고 미래 대한민국 우주산업의 새로운 먹거리를 창출해 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어성철 한화시스템 대표이사는 “위성 분야 연구개발(R&D) 역량을 지속해서 강화해나가며 초고해상도 초소형 SAR 위성 국산화 성공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