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절벽 속 출생아 늘어난 광주…비결은 '광주형 ○○○'

입력 2022-10-05 1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아기발자국을 늘려라] 세종 제외 '전국 유일' 작년 출생아 수 증가

▲지난해 12월 29일 광주 북구 꿈나무사회복지관에서 '아이 낳아 키우기 좋은 행복 북구' 꿈나무실내놀이터 개소식에서 아이들이 소형 인공지능(AI) 로봇 시연을 바라보고 있다. (뉴시스)

“난임 부부 지원 받아 시험관 시술 끝에 예쁜 아기를 갖게 됐어요. 임신부터 출산까지 활용하는 정책이 많아서 좋았어요(광주형 난임부부 지원 참여자 서자영 씨).”

“산전 도우미는 이용하지 못했지만, 산후 도우미는 3주를 신청해 지원받았습니다. 목욕을 어떻게 시키는지, 얼굴이 벌겋게 올라온 태열은 어떻게 관리하는지, 아기에게 무슨 로션이 좋을지 하나부터 열까지 알려주셔서 좋았습니다(광주형 산후관리 공공서비스 참여자 오수진 씨).”

“이 사업 덕분에 비용 부담이 줄었습니다. 지원받은 금액은 아이들과 가정을 위해 사용 중입니다(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사업 참여자 이혜선 씨).”

올해 6월 광주광역시의 ‘생애주기별 지원정책 이용 후기 이벤트’에 참여한 광주시민들의 후기다. 광주는 세종을 제외한 전국 16개 시·도 중 지난해 출생아 수가 증가한 유일한 지역이다. 주거·현금지원에 집중된 타 시·도와 달리 광주는 출산 지원정책을 생애주기별 6단계로 나눠 다양한 형태로 추진하고 있다. 시민들은 만남부터 육아까지 전 과정에서 정책적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광주의 주요 출산 지원정책을 보면, 청년들에게 ‘만남의 기회’를 주는 차원에서 소통 애플리케이션(앱)을 운영하고, 청년동아리를 지원한다. 결혼 단계에선 산전검사 비용과 전세자금 대출이자를 지원한다. 건강상태, 경제활동 등을 이유로 임신이 어려운 부부에 대해선 난임 시술 비용을 지원하고, 임산부 근로자를 계속 고용하는 기업에 지원금을 지급한다. 또 임신 막달에는 가사돌봄서비스를, 출산 후에는 산후관리 공공서비스를 지원한다.

이 밖에 어린 자녀를 둔 부모들이 무료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육아용품을 구매·대여할 수 있도록 ‘출산맘 나눔가게’를 운영하고, 자녀 입원이 필요한 경우에는 입원 아동 돌봄서비스를 지원한다. 국공립 어린이집도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있으며, ‘광주형’이란 이름을 붙여 아동수당을 확대 지급하고 있다. 일·생활 균형을 지원하는 차원에선 초등학교 입학기 10시 출근제를 도입하는 기업에 장려금을 지급하고 있다. 올해엔 9000만 원을 들여 인공지능(AI) 기반 상상놀이터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광주 출산 지원정책의 핵심은 ‘연계’에 있다. 김순옥 광주시 여성가족교육국장은 “결혼, 출산, 양육은 분리된 것이 아니라 생애주기란 큰 틀에서 하나의 흐름으로 연결돼 있다”며 “그럼에도 기존의 출산 지원정책은 단편적, 개별적, 백화점식 나열에 그쳤다”고 지적했다. 김 국장은 “광주시의 출산 지원정책은 생애주기별로 이어져 모든 시민이 필요한 정책을 어디서든 찾아서 활용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출산에 대한 투자는 계속해서 확대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광주의 출산 지원정책 중 가장 성과가 두드러지는 부분은 난임 부부 지원이다. 지난해에만 난임 시술 3036명, 한방난임 시술 100명을 지원했는데, 이 중 917명이 임신에 성공했다. 2020년 이후로는 2년간 1875명이 정부 지원을 통해 아이를 가졌다.

연령 등 건강상태를 이유로 임신을 포기했던 이들에게도 희망이 됐다. 난임 부부 지원사업 참여자인 조성희 씨는 후기에서 “결혼 후 아이가 생기지 않아 고민하던 끝에 광주에서 난임 부부를 지원해준다고 지인에게 들어 신청하게 됐다”며 “다닌 지 2주 정도 됐는데, 광주에서 이런 지원을 해줘 더욱 힘이 난다. 꾸준히 다녀서 이번에는 성공했으면 좋겠다”고 소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