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92% “아이 키우려면 고용 안정성이 우선...일정 수입 뒷받침돼야”

입력 2022-10-06 05:00수정 2023-03-19 14:0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아기발자국을 늘려라] 2040 기혼 남녀 결혼ㆍ출산 인식조사

자녀 양육자들은 아이를 키울 때 가장 필요한 정부 정책으로 ‘고용 안정성’을 꼽았다. 고용의 안정성은 일정한 수입을 의미한다. 양육자들이 아이를 키울 때 비용 부담이 가장 크다는 응답률(65.4%)이 높은 것을 고려하면 육아 지출을 감당할 수 있는 소득이 중요한 것으로 해석된다. 보육·교육 인프라 확충도 필요하다는 인식이 강했다.

육아의 조건으로 ‘노동시장 전반에서 임금 등 근로조건과 정년 보장 등 고용안정성이 높아져야 한다’는 설문에 군지역·농어촌에 거주하는 기혼자의 ‘그렇다’는 응답률은 92.3%로 가장 높았다. 대도시(81.7%), 중소도시(83.0%)보다 약 10%포인트 높은 수치다.

이 문항에 대한 ‘그렇다’는 전체 응답률은 82.2%로 집계됐다. 대다수 문항이 연령대, 월소득(부부합산), 응답자고용지위(비정규직·정규직 등) 등 세부 항목에 따라 편차가 있던 것과 비교하면 고용 안정성에 대한 공감대는 공통적으로 높았다.

▲2040 기혼 남녀 결혼ㆍ출산 인식조사. 이투데이/리얼미터 공동 (이투데이)

연령대별로는 30대 81.3%가, 40대 86.1%가 ‘고용 안정이 중요하다’고 각각 답했다. 특히 부부가 모두 경제활동을 하는 맞벌이의 ‘그렇다’는 응답률은 83.9%로 외벌이 응답률(81.3%)보다 높았다. 비정규직(89.5%), 정규직(82.3%)의 응답률도 모두 80%를 웃돌았다.

순자산이 많든 적든 고용이 중요하다는 인식은 같았다. 순자산 설문항목 범위인 1억 원 미만~9억 원 미만의 응답률은 모두 80%대였다. 구간별로는 △1억 원 미만 82.9% △1억~3억 원 미만 80.6% △3억~5억 원 미만 89.7% △5억~7억 원 미만 84.6% △7억~9억 원 미만 82.8%로 각각 집계됐다.

‘임신·출산 가구에 대해 현금이나 바우처 (상품권·교환권), 현물(육아용품 등) 등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는 설문 문항에도 74.6%가 ‘동의한다’를 택했다. ‘군지역·농어촌’의 동의 응답률은 84.6%로 대도시(73.9%), 중소도시(76.1%)보다 높았다. 부부합산 월소득 ‘200만 원 미만~1000만 원 미만’ 구간의 답변율도 70%대였다. 월소득 ‘1000만 원 이상’만 48%로 절반을 밑돌았다.

공공보육·교육 인프라도 지금보다 더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도 많았다. 출산율이 낮아져 보육·교육 시설 등록이 쉬울 것 같은데, 오히려 찾기 어렵다는 것이다.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같은 보육 인프라 확충에 ‘동의한다’는 응답률을 연령대별로 보면 40대가 82.6%로 가장 높았다. 30대(77.0%), 20대(70.0%) 답변율도 모두 70%를 웃돌았다. 거주지 기준으로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 76.9%)보다 비수도권(84.4%)의 ‘그렇다’ 응답률이 높았다. 부부가 맞벌이할 때(81.2%), 응답자 고용 상태가 비정규직(94.7%)일 때 인프라의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했다. 자녀수별로는 ‘2명’일 때가 84.0%로 가장 높았다. 이어 3명(79.2%), 1명(78.2%) 순으로 나타났다.

<본 기획물은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

Warning: Use of undefined constant PRODUCTION_IP - assumed 'PRODUCTION_IP' (this will throw an Error in a future version of PHP) in /service/web/m/2024/www/view.php on line 1056

Warning: Use of undefined constant SERVER_IP - assumed 'SERVER_IP' (this will throw an Error in a future version of PHP) in /service/web/m/2024/www/view.php on line 1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