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자 69% “교사·학생이 시설 청소”
![](https://img.etoday.co.kr/pto_db/2022/10/600/20221002105431_1802798_1200_800.jpg)
전국 초·중·고교 10곳 가운데 7곳은 교무실과 행정실 등 교실을 제외한 학교시설을 교사와 학생이 청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와 학생들이 교육과 학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전문 청소 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교육위원회 민형배 의원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9월 26∼30일 전국 초·중·고교 교사 468명을 대상으로 ‘교실 외 학교시설 청소 현황’을 조사 결과를 2일 발표했다.
응답자 가운데 69%(325명)는 교무실 등 학교 시설을 교사·학생이 청소한다고 답했다. 청소 전문 인력이 청소'한다고 답한 교사는 31%(143명)였다.
상급학교일수록 학생과 교사가 청소한다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교사와 학생이 학교시설을 청소한다는 응답자 비율은 초등학교의 경우 55%(144명)였지만, 중학교는 85%(103명), 고등학교는 89%(78명)에 달했다.
지난해 국가인권위원회는 교무실 등 교직원 사용 공간을 학생이 청소하는 것은 헌법상 일반적 행동 자유권 침해라는 판단을 내리고 교육감에게 개선책 마련을 권고한 바 있다.
민형배 의원은 “미국이나 영국 등 주요 선진국은 전문 인력이 학교시설을 청소하고, 다른 공공기관도 이용자에게 청소 의무를 부여하지 않는다”며 “학생 생활지도는 교실 청소로 충분하다. 전문 인력 확보와 지원으로 학생은 공부, 교사는 가르침에 집중하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