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시장 진출 예정인 빅테크ㆍ핀테크 업계…“잘하던 것 할 수 있어”

입력 2022-09-12 14:2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미지투데이)

핀테크 업계가 금융위원회(금융위)의 금융사·빅테크 플랫폼 활성화 기조를 환영하고 나섰다. 업계에서는 이른바 ‘기울어진 운동장’ 논란에서 벗어나 금융사와 동등한 입장에서 서비스만으로 경쟁할 수 있게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금융위는 지난달 23일 개최한 ‘2차 금융규제혁신회의(2차 혁신회의)’를 통해 금융사·빅테크 플랫폼에 대한 규제 완화 정책을 발표했다. 이번 규제 완화를 통해 금융사는 계열사 간 정보 공유를 통한 서비스를 활성화할 수 있고, 지주사가 통합 앱 운영을 통해 시너지도 낼 수 있게 된다. 빅테크·핀테크 기업은 그동안 대출 상품에서만 가능했던 비교·추천 서비스를 예금, 보험, 펀드, P2P 등도 ‘혁신금융서비스’ 지정을 통해 이르면 다음 달부터 관련 서비스를 출시할 수 있을 전망이다.

핀테크 업계는 정부의 결정을 환영하는 분위기다. 한 업계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핀테크 기업에 대해 금융사 수준의 규제를 가하는 것이 정책의 방향이었다면, 최근에는 반대로 금융사들의 규제를 풀어주는 분위기로 바뀌었다”라면서 “핀테크 기업 입장에서는 플랫폼 노하우와 지금까지 쌓아온 데이터를 통해 ‘잘하던걸’ 할 수 있는 것만으로도 경쟁해볼 만하다”라고 평가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보험영업인에 대한 골목상권 침해와 수수료 등으로 인한 소비자 편익 감소를 이유로 이번 ‘혁신금융서비스’ 확대를 반대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보험 업계는 “국민 대다수가 노출된 온라인 플랫폼에서 보험 가입을 하게 되면 플랫폼 사용을 위한 수수료가 부과된다”라며 “이로 인해 보험사를 이용하는 것보다 오히려 소비자 편익이 저해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핀테크 업계는 “빅테크·핀테크가 가진 데이터를 통해 이용자들에게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해, 소비자 편익을 증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하고 나섰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마이데이터 등의 사업 역시 이용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이용자 개개인에게 알맞은 상품을 비교·추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편, 금융위 역시 이 같은 문제를 의식해 소비자 보호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범 운영 성과를 지켜본 뒤 최종 인가 여부를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지난 2차 혁신회의 당시 “(이번 규제 완화는) ‘금융의 디지털 혁신’을 위해 시급한 과제”라며 “규제개혁의 지향점은 결국 소비자를 위한 혁신”이라고 밝힌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