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포그래픽] “비행접시부터 꽃 모양까지”…지역별 이색 송편

입력 2022-09-10 08: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오늘(10일)은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인 추석입니다. 추석 하면 빼놓을 수 없는 대표 명절 음식이 바로 송편인데요. 가을 햅쌀로 빚어 추석 차례상에 올리는 떡으로 풍요와 감사, 액운이 없기를 바라는 기원의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송편은 원래 ‘소나무 송’에 ‘떡 병’자를 써서 송병이라고 불렸는데요. 송편을 찔 때 서로 들러붙지 않도록 솔잎을 깔기 때문입니다. 솔잎 때문에 떡에 솔 내음이 은은하게 베고 떡의 변질도 늦출 수 있다고 합니다.

오랜만에 만난 가족과 도란도란 둘러앉아 송편을 나눠 먹은 분들 많을 텐데요. 혹시 어떤 송편을 드셨나요? 송편은 지역에 따라 색깔도 모양도 다양합니다. 비행접시 모양부터 화려한 꽃장식이 달린 송편도 있는데요.

추석을 맞아 지역별 이색 송편을 인포그래픽으로 정리했습니다.

△서울·경기 ‘오색송편’
-쑥, 오미자, 치자 등 천연 재료로 만든 알록달록한 빛깔
-깨로 만든 소
-한입에 먹을 수 있도록 작게 만든 것이 특징

△강원도 ‘감자송편’
-감자 녹말로 만들어 구수하고 쫄깃한 식감
-팥·녹두·단호박 등으로 만든 소
-손자국을 그대로 낸 투박한 모양이 특징

△전라도 ‘꽃송편’
-오미자, 치자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 화려한 색감을 자랑
-오색의 떡반죽으로 꽃이나 나뭇잎 모양 등을 만들어 장식
-‘매화송편’으로도 불려

△충청도 ‘호박송편’
-호박을 넣은 반죽으로 만들어 달콤한 맛
-대추·깨·녹두로 만든 소
-선명한 노란색에 작은 호박 모양으로 만든 것이 특징

△경상도 ‘칡송편’
-멥쌀과 칡가루를 섞어 만든 피와 강낭콩·팥으로 만든 소
-칡의 단맛과 쓴맛에 독특한 향을 함께 느낄 수 있어
-다른 지역의 송편에 비해 큼직하고 투박한 것이 특징

△제주도 ‘완두송편’
-비행접시를 떠올리게 하는 둥글고 납작한 모양
-완두콩 소가 들어가 달콤하고 고소한 맛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