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매매심리도 '꽁꽁'…매매ㆍ전세 모두 3년래 최저 수준

입력 2022-08-26 10:2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투데이DB)

서울 아파트값 하락이 계속되는 가운데 매매와 전세 모두 공급 과잉 상황이 계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8월 넷째 주(22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2.9로 지난 5월 2일(91.1) 이후 16주 연속 하락했다. 매매수급지수는 기준선(100)보다 낮을수록 시장에 집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 주 매매수급지수는 지난 2019년 7월 1일(80.3) 이후 3년 1개월 만에 최저 수준이다.

서울 5대 권역의 지수가 모두 지난주보다 하락한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하던 동남권(강남 4구)도 이번 주 89.4를 기록하며 지수 90선이 무너졌다. 용산·종로구 등이 포함된 도심권은 78.4로 80 이하로 떨어졌고, 은평·서대문·마포구가 있는 서북권은 76.6으로 5대 권역 중 지수가 가장 낮았다.

매수 심리는 최근 집값 하락기와 겹치면서 내림세가 가파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7월 서울 아파트 거래 신고 건수는 이날 기준 628건으로 2006년 거래 신고가 시작된 이후 월별 거래량 기준 역대 최저수준이다.

경기지역도 지난주 88.0에서 이번 주 85.2로, 인천 역시 85.0에서 83.8로 떨어지면서 수도권 전체 수급지수는 지난주(86.3)보다 2포인트(p) 하락한 84.3을 기록했다. 이 역시 2019년 7월 1일(83.7) 이후 3년 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전국 아파트 매매수급지수 역시 87.8로 14주 연속 하락했다.

전세 시장은 신규 물건은 많지만, 수요는 없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금리 인상으로 전세의 월세화가 가파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대출 이자 부담에 집을 넓혀가거나 학군 좋은 곳으로 움직이는 수요마저 감소한 영향이다.

이번 주 서울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는 88.7로 지난주(90.2)보다 하락하며 지수 90 이하로 떨어졌다. 수도권 전세수급지수도 지난주(90.4)보다 낮은 87.6을 기록하며 90 이하로 내려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