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현 SK 선대회장 24주기…SK家 ESG 경영 재조명

입력 2022-08-26 10:1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종현 SK 선대회장이 충북 충주시 인등산 임야를 사들여 조림 사업을 진행한 결과, 1970년대 초반(위)과 현재(아래) 풍경이 크게 달라졌다. 원 안은 최종현 선대회장이 부인 故 박계희 여사와 인등산에 나무를 심는 모습. (사진제공=SK)

최종현 SK그룹 선대회장 서거 24주기를 맞이해 최 전 회장이 뿌리내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재조명되고 있다.

26일 SK그룹은 최종현 SK 선대회장의 24주기를 맞아 SK ESG(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 경영의 역사를 담은 영상물을 공개했다.

최 선대회장은 1962년 선경직물 부사장으로 SK에 합류한 뒤 ‘석유에서 섬유까지’ 수직계열화를 완성하고 디지털 방식의 휴대전화 기술인 CDMA 기술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인물이다. “기업 이익은 처음부터 사회의 것으로 사회에 돌려줘야 한다”는 신념으로 조림과 인재양성에 집중하며 ESG 경영의 문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산림과 인재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임업을 통해 얻은 수익으로 인재를 양성했다.

임야 매입을 부동산 투자로 바라보는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 지방의 황무지를 사들였고 자작나무 등 고급 활엽수를 심어 산림녹화에 나섰다. 이런 노력으로 최 선대회장이 조성한 숲은 서울 남산의 40배 크기에 달한다.

또 그는 국가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조림에서 발생한 수익을 장학사업에 사용했다. 1974년 11월 한국고등교육재단을 설립한 뒤 매년 유학생을 선발, 해외로 보냈고 학비와 생활비 전액을 장학금으로 지급했다. 1974년부터 시작된 고등교육재단 장학사업은 IMF와 세계금융위기 등 극심한 경제위기에도 계속됐고 현재까지 장학생 4000여 명과 박사 820여 명을 배출한 ‘인재의 요람’으로 성장했다.

이러한 최종현 회장의 뜻을 이어받아 최 회장도 ESG를 그룹의 핵심 성장동력원으로 삼아 경영체질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SK 관계자는 “선대회장은 기업이익은 처음부터 사회의 것이라는 신념으로 산림과 인재를 육성해 사회와 국가의 핵심 인프라가 될 수 있도록 했다”면서 “선대회장의 경영철학을 이어받아 ESG 경영을 더욱 고도화해 이해관계자의 행복을 더 키워 나가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