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금융통화위원회 개최… 0.25%p 인상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25일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현재 연 2.25%인 기준금리를 2.50%로 0.25%포인트(p) 인상했다.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를 넘었고, 기대인플레이션도 4%를 웃도는 상황에서 물가를 잡으려는 조치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 긴축 속도와 환율 방어 등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금리 인상으로 금통위는 4월, 5월, 7월에 이어 사상 처음 네 차례 연속 인상이라는 기록을 썼다. 특히 지난달에는 한 번에 0.5%p를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한 바 있다.
7월 소비자물가지수(108.74)는 외식·농축수산물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6.3% 뛰었다. 이는 1998년 11월(6.8%) 이후 23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향후 1년의 예상 물가 상승률에 해당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도 이달 4.3%로 상승했다. 역대 최고였던 7월(4.7%)보다 다소 낮아졌지만, 여전히 4%대를 웃돌고 있다.
높은 기대인플레이션은 임금, 가격, 투자 결정 등에 반영되면서 실제 물가 상승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물가가 더 오를 것으로 예상하는 개인은 임금 상승을 요구하고, 기업들은 임금 인상 부담으로 재화와 서비스 가격을 올리면서 다시 물가 상승을 초래하는 ‘인플레이션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가 역전된 것도 네 차례 금리 인상의 주요 근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달 27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두 달 연속 ‘자이언트 스텝’(한꺼번에 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밟은 뒤 미국의 기준금리(2.25∼2.50%)는 한국(7월 기준 2.25%)보다 높아졌다.
미국 금리 한국보다 높아지면 외국인의 투자자금 유출과 달러당 원화 가치 하락세(원ㆍ달러 환율 상승)는 더 심해질 수 있다. 특히 원·달러 환율이 최근 다시 불안한 흐름을 보여, 한은으로서는 환율 방어 차원에서라도 기준금리를 높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