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청년층 이어 고령층 금융지원 정책 모색

입력 2022-08-24 18: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년 전에 발표한 ‘고령 친화 금융환경 조성방안’ 재점검 및 추가 발굴
민생안정대책, 고령층 지원 정책은 미반영…취약차주 지원 범위 확대

▲2분기 가계대출이 다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이 커지고 기타대출 감소 폭이 줄어든 영향이다. 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분기 가계신용'에 따르면 2분기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869조4000억원으로 전 분기 말보다 6조4000억원 증가했다.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3년 이래 가장 큰 규모다. 2분기 가계대출 잔액은 1757조9000억원으로 전 분기 말 대비 1조6000억원 늘어났다. 이날 서울의 한 시중은행 대출 창구 모습.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금융위원회가 고령층 금융소비자를 위한 지원 방안을 모색한다. 중소기업-소상공인, 청년층 지원에 이어 고령층 취약 차주에 대한 금융 지원도 보완하려는 것이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는 최근 금융 관련 연구원 등 관계기관을 통해 고령층 금융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금융 지원 방안과 관련한 의견을 취합 중이다.

이번에 금융위가 추진하려는 고령층 금융소비자 지원안은 지난 2020년 8월에 발표한 ‘고령 친화 금융환경 조성방안’의 연장선이다. 금융위는 당시에 발표했던 개선안이 제대로 이뤄졌는지 점검하고 보완이 필요한 부분은 추가로 지원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고령 친화 금융환경 조성방안은 △점포축소에 대응한 대체창구 공급 활성화(우체국 등과 창구업무 제휴 강화) △고령자 전용 모바일 금융 앱 마련 및 출시 △고령자 전용 비교공시 시스템 별도 구축 △고령층 전용 상품설명서 도입 등을 담았다.

금융위 관계자는 “2020년 8월에 발표한 내용이 실제로 금융소비자 입장에서는 어떻게 작용되고 있는지 점검하고, 그 과정에서 보완하거나 새롭게 추가로 발굴할 정책이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에 정부가 발표한 ‘금융부문 민생안정 과제 추진현황 및 계획’에는 고령층 지원 내용이 없었다. 민생안정 과제는 자영업자-소상공인, 청년, 서민-저신용층을 대상으로 한 금융지원에 초점을 맞췄다. 특히 주식, 가상자산 등 청년 자산투자자의 투자손실을 지원 대상으로 삼아 논란이 일기도 했다.

최근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으로 소비자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만큼 정부에서도 취약차주 지원을 전방위로 펼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은행 분석에 따르면 고령층의 가계부채는 고령화에 따른 부채 누증과 자영업자의 신용대출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다. 작년말 기준 가계대출에서 40~50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54.4%로 청년층(20·30대, 27.1%)의 두 배에 달했다. 60대 이상 고령층 비율도 18.5%로 나타났다. 청년층을 제외한 비중이 70% 넘는 셈이다. 60대 이상 고령층의 대출은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권 관계자는 “취약 차주 중에서 고령층 숫자가 늘었고, 고령층은 주로 캐피탈 등 금리가 높은 비은행권에서 대출을 받은 경우가 많아 이에 대응하고자 정책을 준비하려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