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디지털 인재 100만 양성…코딩 사교육 늘까 ‘우려’

입력 2022-08-22 15:1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 초·중등 정보교육 2배 이상 확대…벌써부터 내 아이 ‘코포자’·유아 ‘디지털기기 조기 노출’ 걱정

(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2026년까지 5년간 100만 명의 디지털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초·중등 정보교과 수업 시수를 지금보다 2배 이상 늘리기로 했다. 유아의 디지털 경험 접근성도 강화한다. 이에 교육계에서는 디지털 관련 사교육이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교육부를 포함한 관계부처는 2025년부터 정보선택과목을 초등학교 34시간(현행 17시간), 중학교 68시간(현행 34시간) 이상으로 편성하도록 수업 시수를 확대하는 내용의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을 22일 발표했다. 초등학교 수업시수는 2022 개정 교육과정부터 확대할 방침이다. 이는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 81번인 ‘100만 디지털 인재양성’ 일환이다.

이에 따라 초·중학교에서는 학생 발달단계에 따른 체험·탐구 중심의 코딩교육을 필수화한다. 고등학교에는 학생의 진로, 적성을 고려한 학점제형 코딩과목을 신설한다.

영재학교·과학고를 대상으로는 소프트웨어(SW)·인공지능(AI) 특화 교육과정을 2022년부터 시범 운영하고, 영재학급도 2025년까지 70개로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SW·AI 분야에 특기가 있는 일반고 학생을 대상으로도 영재학교 및 과학고의 심화과정을 온·오프라인으로 제공한다.

이밖에도 유아·놀이중심 유치원 교육과정에서는 디지털 기반 놀이 환경을 구성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디지털 기반 놀이환경 현장지원자료 및 온라인교육콘텐츠 제작·개발 자료를 보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반면,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앞서 2018년부터 소프트웨어 교육이 필수화되면서 코딩 관련한 사교육 바람이 사회적 문제가 된 경험이 있다. 실제로 당시 ‘코딩 포기자(코포자)’란 단어가 유행하기도 했다. 유아 자녀들이 디지털 기기에 조기 노출되는데 따른 우려도 있다.

이에 오석환 교육부 기획조정실장은 “기술로서의 코딩이 아닌 디지털 역량교육의 생태계를 초등학교부터 대학, 대학원까지 마련하도록 한 것이다. 즉, 사교육이 따르지 못하는 디지털공교육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유아의 경우 디지털 기기의 광범위한 노출이 아닌 아이들의 성장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기반 환경을 만들 것”이라며 "코로나 시대를 겪으면서 유치원에도 이미 디지털 기반 놀이 환경이 구축돼 가고 있다. 놀이 환경을 활용하는 데 있어 어떤 방식으로 자료들을 제공할지에 대한 다양한 노력이 이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