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채무자, 가계대출자 중 22.4% 해당…2012년 집계 이후 최고

입력 2022-08-15 10:35수정 2022-08-15 18: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은, 가계부채 DB 분석…다중채무자, 작년말보다 0.3%p 늘어

(그래픽=손미경 기자 sssmk@)

3곳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은 다중채무자가 작년 말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은행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DB)상 약 100만 명 패널의 신용정보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올해 1분기 말 기준 가계대출자 가운데 22.4%가 다중 채무자였다. 작년 말(22.1%)보다 비중이 0.3%포인트(p) 늘어난 것이다. 집계가 시작된 2012년 이후 최고 기록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작년 말 기준 전체 차주 수(1989만4000명)에 이 비중(22.4%)을 적용하면 약 445만6000여 명이 다중 채무자인 셈이다.

금융권별 다중 채무자 비중을 보면 저축은행의 경우 1분기 말 대출잔액 기준으로 76.8%, 차주 수 기준으로 69.0%가 다중 채무 상태였다. 모두 작년 말(75.9%, 67.5%)과 비교해 0.9%p, 1.5%p씩 다중 채무자 비중이 늘었다.

은행의 다중 채무자 비율은 1분기 말 대출잔액과 차주 기준 각 27.6%, 25.4%로 집계됐다. 한 분기 사이 차주는 0.2%p 높아졌지만, 잔액은 0.3%p 낮아졌다. 1분기 현재 다중 채무자의 전체 빚을 연령대로 나누면, 40대의 비중이 32.6%로 가장 컸고 이어 50대 28.0%, 30대 이하 26.8%, 60대 이상 12.6% 순이었다.

(사진=연합뉴스)

40대의 경우 비중이 작년 말보다 1.1%p(33.7→32.6%) 떨어졌지만, 30대 이하와 50대는 0.6%p(26.2→26.8%)와 0.2%p(27.8→28.0%)씩 늘었다.

다중 채무자 대출 잔액을 차주의 소득 수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고소득자(소득 상위 30%)가 65.6%를 차지했고 중소득자(소득 30∼70%)와 저소득자(소득 하위 30%)의 비중은 각 25.0%, 9.4%였다.

저축은행 등 2금융권, 중·저소득층, 30대 이하 젊은 층의 다중 채무 비중이 늘어나는 것은 금리 상승의 충격에 가장 약한 틈이 커진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한은은 일반적으로 다중 채무자 가운데 저소득(소득 하위 30%) 또는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하) 상태인 대출자를 '취약 차주'로 분류하고 있다.

최근 금융 안정 보고서에서도 한은은 "앞으로 완화적 금융 여건이 정상화(금리 상승)되는 과정에서 대내외 여건까지 악화할 경우, 취약차주의 상환능력이 떨어지고 그동안 대출을 크게 늘린 청년층과 자영업자 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신용 위험이 커질 우려가 있다"고 진단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