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기술 수준 감안, AI 금융 정책방향 ‘활성화’에 초점 맞춰야”

입력 2022-08-04 15:1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4일 ‘금융분야 인공지능 활용 활성화 간담회’ 개최…업계·전문가 등 참여
“의료·쇼핑 등 비금융 데이터 포함 시 편익 제고 서비스 기대” 등 의견 다양

(금융위원회)
정부가 추진하는 금융분야 인공지능(AI) 활용 방안이 활성화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서정호 금융연구원 부원장은 4일 마포 프론트원에서 열린 ‘금융분야 인공지능 활용 활성화 간담회’에 참석해 “현재 국내 금융권의 AI 도입 수준이나 기술 수준을 감안할 때 정책방향도 당분간 활성화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라며 “시장과 규제당국이 긴밀히 소통함으로써 규제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제고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 부원장은 “데이터 결합 제도의 경우 우선 데이터전문기관 지정 확대 및 결합 절차의 효율화·간소화에 집중하되, 장기적으로는 데이터 결합 이용기관이 보다 자율적으로 데이터를 결합·활용할 수 있도록 규제 합리화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규제 샌드박스 등을 통해 데이터 결합 후 데이터 재사용을 허용하는 ‘금융 AI 데이터 라이브러리’에 대한 다양한 의견도 나왔다.

이욱재 KCB 상무는 “금융 AI 데이터 라이브러리는 데이터 수요자에게 더 빠르고 원활하게 데이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돼야 한다”며 “장기적으로는 금융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통하지 않고 가명정보를 좀 더 원활하게 재사용할 수 있는 규제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지훈 손해보험협회 상무는 “AI 데이터 라이브러리 구축 시 금융뿐 아니라 의료·쇼핑 등 다양한 비금융 데이터가 포함될 경우 소비자 편익을 제고하는 AI 서비스 출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이밖에 옥일진 우리은행 부행장은 “‘금융분야 AI 개발·활용 안내서’는 규제가 아니라 우수 사례(Best Practice)를 제시하는 것으로 현장에서 유연하게 AI를 개발·활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