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호 국산전투기' KF-21 지상활주 첫 공개…이륙만 남았다

입력 2022-07-08 15:0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항공우주산업이 KF­21 1호기를 생산 완료하고 지상 테스트를 시작한 지난 6일 테스트 파일럿이 Ramp Taxi를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최초의 국산 전투기인 KF-21(보라매)이 지상에서 자력으로 주행하는 모습을 처음 선보였다.

6일 경남 사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본사 계류장에서 KF-21 시제 1호기가 랜딩기어를 내린 채 지상에서 주행하는 '램프 택시'(지상 활주) 장면을 연출했다.

KF-21은 지난해 4월 시제 1호기 외관이 공개됐는데 자체 동력으로 움직이는 모습은 이번에 처음 선보였다.

방위사업청과 KAI는 이르면 25일이 포함된 이달 마지막 주에 KF-21 초도 비행을 계획하고 있다. 첫 비행은 기본적인 성능만 시험하며 40분가량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비행에 성공하면 우리나라는 세계 8번째의 초음속 전투기 개발 국가가 된다.

첫 비행 이후 2026년까지 약 2000여 소티(비행횟수) 시험비행을 할 것으로 보인다. 안전성을 초기 비행에서 확인한 뒤 고도, 속도, 기동을 차례로 확장하면서 최종적으로 비행 성능과 조종 특성을 검증할 예정이다.

시험비행과 아울러 내년 후반기 '잠정전투용적합', 2026년 '최종전투용적합' 판정을 획득하고 2028년까지는 추가 무장시험을 이어갈 계획이다.

잠정전투용적합 판정을 받으면 양산을 개시할 여건이 마련된다. 기획재정부와 협의해 내년 전반기까지 사업타당성조사를 받은 뒤 계약을 진행해 2026년께 최초 양산에 들어가는 것이 목표다.

'보라매'라 불리는 KF-21은 한국형 전투기(KF-X) 사업이다. 2001년 8월 김대중 대통령이 "2015년까지 국산 전투기를 개발하겠다"고 선언하면서 시작됐다. 사업 타당성 분석, 탐색개발, 작전요구성능(ROC) 및 소요량 확정 등을 거쳐 방위사업청은 2015년 12월 KAI와 체계개발 본계약을 맺고 다음 해 1월 체계개발에 착수했다.

총 사업 규모는 8조8000억 원으로 '단군 이래 최대 규모 방위력 증강 사업'으로 꼽힌다.

투자 대가로 시제기 등을 받아 갈 인도네시아는 아직 분담금을 연체 중이다. 분담금 문제가 해소되지 않으면 시제기를 제공할 수 없다는 게 한국 당국 입장이다.

KF-21은 폭 11.2m, 길이 16.9m, 높이 4.7m로 공대공은 독일산 AIM-2000과 영국산 미티어 미사일을 갖추며 공대지 무기는 GBU-12 등 미국제 외에 한화, LIG넥스원의 MK-82, KGGB는 물론 방사청이 개발하는 공중발사순항미사일(ALCM)도 장착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