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한은 7월 '빅스텝' 단행 가능성 있어"

입력 2022-07-06 18:2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 경제 성장세 지속 할 듯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30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개최된 2022년 상반기 금융협의회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은행)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다음주 빅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6일 전망했다.

루이 커쉬 S&P 아태지역 수석 이코노미스트(전무)는 이날 온라인으로 진행된 국제금융센터 초청 세미나의 사전 간담회에서 "한은을 포함한 중앙은행들은 연말까지 지속해서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은은 이달 회의에서도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시장에서는 50bp(1bp=0.01%포인트)까지 인상도 예견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6.0%)은 정말 오랜만에 처음 보는 수치였다"며 "이런 수치가 나오니 한은도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처럼 조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한은을 포함한 아태지역 중앙은행들이 금리 인상을 하는 것은 연준의 굉장히 강한 태세에서 기인한다"며 "한은 입장에서는 미국 금리가 높아지면 원화가 약세를 보여 인플레이션 문제가 가중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한국 금리가 총 75bp 정도 더 인상될 것으로 본다"며 "전통적으로 한국의 평균적인 중립 금리는 2.5% 수준인데, 환율이 지속해서 압박을 받고 원자재와 에너지 가격이 우상향하면 한은은 금리가 이보다 더 높아야 한다고 느낄 수 있다"고 봤다.

루이 수석은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경제가 역성장 위협을 받고 있지는 않다고 봤다.

그는 "글로벌 경제 성장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지만, 올해와 내년은 전반적으로 아직 플러스(+) 추세"라며 "많은 걱정과 달리 향후 5년을 전망했을 때 스태그플레이션(물가 상승 속 경기 후퇴) 가능성도 높지 않다"고 평가했다.

특히 "한국 등 아태지역 국가들에 경제 성장이 큰 우려 대상은 아니다"라며 "한국은 최근 다소 주춤했지만, 성장세가 지속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