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륙붕에는 ▲석유·석탄·황·암염·칼륨 등의 비금속 자원 ▲구리·아연·납·철·니켈·금·은·수은·형석 등의 표사광상 ▲천해지역에서 생성되는 인회석과 해록석 등의 자생광상 ▲수심 500~600m의 대륙붕과 심해저에 분포하는 해저열수광상과 망간각 및 망간단괴 등이 분포하고 있다. 자원의 보고라고 할 수 있는 곳이다.
특히 대부분의 자원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대륙붕 자원은 '가뭄의 단비' 이상의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를 '석유 한 방울 나지 않는 나라'에서 세계 95번째 산유국 반열에 올릴 수 있었던 '동해-1 가스전'도 대륙붕 개발의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대륙붕에 대한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각국의 자원확보 전쟁도 치열하다. 근해역 대륙붕 자원 확보를 위한 해양과학 조사와 개발, 그리고 해외 자원 확보를 위한 전방위 경쟁은 이미 불붙었다는 맞는 표현이다.
세계 각국은 자원보고인 대륙붕에 절대적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일본은 2007년까지 대륙붕 확장을 위해 투자했던 연간 약 1500억원의 예산을 2008년부터 주변해역 석유가스자원 부존 조사로 전환하고, 망간단괴와 해저열수광상 상업화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중국 역시 국가 5개년 계획과 대형 종합해역조사 프로젝트를 통해 주변해역 광역·정밀탐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난달 '제1차 해저광물자원개발 기본계획'을 세우고 대륙붕 개발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한편 대륙붕 자원이 미래의 중요한 성장동력이라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자원 확보에는 몇 가지 과제가 선행적으로 해결돼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우선 해양과학 조사에 대한 이해와 장기적 정책지원이 선행돼야 한다. 또 해양자원 확보와 관할권 확보 전략이 단계적으로 수립돼야 한다는 것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대륙붕 자원 확보는 해외 대륙붕(배타적경제수역)과 인류 공동유산 해역인 심해저에서 병행하되, 주변국과 갈등관계에 있는 주권 수역에 대한 정책과 과학조사 역량 확보가 우선돼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