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신축 아파트 임대차 거래…절반 이상이 ‘월세’

입력 2022-06-15 10:0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22년 1~5월 연식 구간별 아파트 월세 거래 비중 (자료제공=부동산R114)

수도권 새 아파트 임대차 거래 중 절반 이상이 월세 거래로 나타났다. 전세의 월세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새 아파트의 전셋값이 상대적으로 높아 월세를 택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15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1월부터 5월까지 전국 아파트 임대차 거래 건수는 총 38만3859건으로 집계됐다. 거래유형별로는 전세 23만4354건(61.1%), 월세 14만9505건(38.9%)이다.

입주 연차가 짧은 신축일수록 월세 거래 비중이 높았다. 입주 5년 이하의 수도권 아파트의 월세 거래 비중은 53.7%(2만8582건)로, 전세 비중 46.3%(2만4642건)를 넘어섰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신축 아파트일수록 구축보다 상대적으로 전셋값이 높아 월세 거래 비중이 크다"며 "갱신권 사용까지 고려해 임대인들이 애초에 높은 가격으로 전세를 내놓자 임차인들이 준전세 계약에 나서면서 월세 거래 비중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신축일수록 준전세 비중도 높았다. 준전세란 보증금이 2년 치 월세를 초과한 임대차 거래를 의미한다. 1~5월까지 전국 아파트 임대차 거래 가운데 준전세 거래 비중은 △5년 이하 41.5% △6~10년 이하 29.2% △10년 초과 25.0%로 나타났다. 수도권의 5년 이하 아파트의 준전세 거래 비중은 47.8%로 가장 높았다.

8월 갱신권이 만료된 신규 계약 물건이 나오면 준전세 거래 비중도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여 연구원은 "8월부터 갱신이 만료된 신규계약 물건이 나오는데, 주변 시세에 맞추거나 갱신계약을 포함한 4년 치 상승분을 미리 반영한 가격에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대출 금리 인상으로 이자 부담이 커지면서 보증금 일부를 월세로 내려는 임차인과 보유세 전가를 위해 월세를 선호하는 임대인의 니즈가 맞물리면서 주거 선호도가 높은 수도권, 신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월세 전환이 가속화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