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 부품 관련 10개 단체, “車 산업 인질 삼은 화물연대 규탄”

입력 2022-06-08 16: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기아 오토랜드 광명 앞에서 집회 벌이는 화물연대 (연합뉴스)

자동차산업연합회(KAIA)와 르노코리아 협신회 등 10개 기관이 8일 입장문을 내고 자동차 산업을 인질로 파업을 진행한 화물연대를 규탄하고 사법당국의 법과 원칙에 따른 신속한 조치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들 10개 기관은 “최근 화물연대가 코로나 펜데믹 영향, 차량용 반도체 수급 등 글로벌 공급 위기에 더해 탄소중립과 미래차 전환 등의 구조적 어려움을 겪으면서 영업이익 감소와 적자 확대로 인한 생존 위기에 처한 자동차 업종을 대상으로 파업과 물류 방해를 행동으로 옮기는 것은 극단적인 이기적 행동으로 규정하면서 이를 강력 규탄한다”고 비판했다.

입장문에 따르면 자동차 부품업체들의 경우 1차 협력업체(상장사 83개 사, 올해 1분기 기준)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60%(49개 사)가 영업이익이 감소했으며 적자 업체도 약 30%(24개 사)에 이른다.

이어 이들 10개 기관은 “특히 화물연대 내부에서도 일부는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와 품목 확대, 운송료 인상 등 요구 사항은 자동차 물류 업종의 경우 임금이 화물연대가 요구하는 수준보다 높아 해당이 없다며 반대하는 상황”이라며 “조립산업 특성으로 인해 한 가지 부품이라도 물류가 원활하지 않으면 전체 자동차 산업의 가동이 중단될 수 있다는 약점을 악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분노할 수밖에 없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10개 기관은 화물연대의 파업과 물류방해 행동에 대해 두 가지 사항을 화물연대와 행정·사법당국에 요청했다.

우선 이들은 화물연대가 자동차업계의 가동과 생존권을 위협하는 파업과 물류방해 행동이나 기도를 즉각 중단할 것을 요청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요청에도 불구하고 파업 등으로 인하여 우리 업종에 피해를 야기하는 경우 고발, 고소 등 법적 조치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행정·사법당국에는 “생존위기에 처한 자동차 산업이 이러한 화물연대의 집단행동으로 인하여 결정적 파국에 이르지 않도록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원칙에 따라 엄격한 법 집행을 신속히 해줄 것”을 요구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