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담 성공하면 '원만한 원 구성ㆍ여야정 협의체 부활' 기대
문제는 野 지도부 사퇴…8월 전당대회 치러야 공식 지도부 꾸려져
대통령실 "원내대표도 가능" vs 與 "당 대표와 원내대표는 달라"
![](https://img.etoday.co.kr/pto_db/2022/06/600/20220602163346_1759845_1000_666.jpg)
국민의힘이 대선에 이어 지방선거까지 승리했지만 국정운영에 필수적인 입법권을 지닌 국회는 여전히 여소야대라 거대야당과의 협치라는 숙제가 남아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여야 대표 회담을 추진해 협치에 시동을 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배경이다.
윤 대통령과 여야 대표 회담은 지난달 소상공인 코로나19 손실보상 추가경정예산안(추경) 심사 때 민주당이 영수회담이라는 이름으로 대통령과의 독대를 요구하면서 수면 위로 떠올랐다. 당시 대통령실은 추경 처리 이후 논의할 사안이라고 선을 그었고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지방선거 이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여야 갈등이 불가피한 원 구성 협상이 이 달 진행되는 만큼 대통령-여야 대표 회담을 통해 협조를 구하는 과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어차피 민주당도 새로운 지도부 구성이 예고 돼 있다. 상견례 형태의 회담이 성공적으로 진행된다면 여야정 협의체를 부활시켜 원만한 국정운영을 도모할 수도 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2/06/600/20220602163413_1759846_1000_586.jpg)
다만 8월 전당대회를 앞둔 민주당 임시지도부와의 회동이 실효성이 있겠느냐는 지적이 나온다. 대통령실과 국민의힘은 의견이 나뉜다. 대통령실은 박홍근 민주당 원내대표가 야당 대표로 충분히 올 수 있다는 열린 입장인 반면 국민의힘은 민주당 지도부가 공식적으로 선출돼야 의미가 있다는 본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민주당은 지도부는 사퇴했지만 원내지도부는 남아있다. 원내대표도 충분히 야당 대표로서 윤 대통령과 여야 대표 회담에 나설 수 있다고 본다”며 “원내대표가 온다면 굳이 8월 전당대회까지 회담을 지연시킬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다만 “아직 정해진 방침은 없고 다양한 경우가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권 원내대표는 이투데이와 만나 “원래 지방선거 이후에 회담을 하려고 했는데 민주당 지도부가 붕괴됐지 않나”라며 “지금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회담을 하겠나”라고 반문했다. 한 원내관계자도 “원내대표와 당 대표는 다르다. 어차피 민주당 내부가 수습이 돼야 회담 등 다른 일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