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4월 물가상승률 2.1%... 7년만 최고치

입력 2022-05-20 14:3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우크라 전쟁‧엔화 약세‧중국 봉쇄 삼중고
기업 비용 증가 압박 지속될 것
“일본 중앙은행의 긴축 가능성은 크지 않아”

▲일본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 추이. 출처 닛케이아시아

일본 물가가 7년 만에 가장 빠른 속도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4월 일본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가 1년 전보다 2.1% 올랐다.

2015년 3월 일본 정부가 소비세율을 인상하면서 물가가 2.2% 상승한 이후 7년 만에 최고치다.

소비자와 거래하는 기업들이 치솟는 수입 물가를 소비자 판매가로 전가하면서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원자재, 에너지, 기타 생필품 가격이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4월 식용유 가격은 1년 전에 비해 36.5% 올랐다. 에너지 관련 품목은 19.1% 올랐는데, 휘발유와 전기료는 각각 15.7%, 21% 올랐다.

햄버거 가격도 6.7% 오르고 밀과 육류 가격은 더 크게 상승했다.

신선식품을 포함한 4월 CPI 상승률은 2.5%로 2014년 10월(2.9%) 이후 7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최근 몇 달 새 엔화 가치가 급락하고 중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봉쇄 조치에 들어가면서 공급망 차질이 악화해 수입품 가격 상승을 더 부추겼다. 일본이 중국에서 수입하는 채소인 양파 가격은 지난해 4월에 비해 98.2%나 오르기도 했다.

일본 총무성은 휴대전화 요금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 작년 4월부터 도입된 저가 요금제로 올 3월까지 근원 CPI 상승률이 비교적 낮았다고 닛케이는 설명했다.

3월 근원 CPI 상승률은 0.8%로 4월에 비해 1.3%포인트 낮다.

기업들은 비용 상승의 압박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본 중앙은행(BOJ)에 따르면 일본의 4월 기업물가지수 1년 전보다 10.0%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도요타는 지난주 4월부터 시작된 올해 회계연도에 원자재값이 1조4500억 엔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순이익은 그 전 회계연도에 비해 20.7% 감소한 2조2600억 엔으로 전망했다.

일본 식품‧음료업체 산토리도 10월 1일부터 출하되는 165개 병 음료 가격을 6~10%가량 인상한다고 밝혔다.

BOJ는 물가 안정을 위해 긴축 정책을 펴는 세계 중앙은행과 달리 경기 침체를 우려해 완화된 통화 정책을 고수해왔다. 그러나 4월 물가상승률로도 일본이 긴축 정책으로 전환할 계기가 되기는 어렵다는 의견이 있다.

마르셀 틸리언트 캐피털이코노믹스 이코노미스트는 “일본은 GDP가 코로나19 발병 전 수준으로 회복되지 못하고, 임금상승률도 제한된 상태”라며 “이런 조건을 따졌을 때 BOJ가 더 강한 긴축 정책을 시행할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