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中봉쇄조치 탓…한국 GDP 최대 0.53% 하락 우려”

입력 2022-05-18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국의 봉쇄 시나리오별 한국 GDP 축소 영향 (사진제공=한국무역협회)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으로 인한 봉쇄조치가 강하고 길어질수록 우리 경제가 더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0.53% 수준의 GDP 하락이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마저 나온다.

18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의 ‘중국의 봉쇄조치 시나리오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중국의 최종수요가 한국 국내총생산(GDP)에 기여한 비중은 7.5%로 해외 국가 중에서 가장 컸다.

중국이 ‘제로코로나’ 정책으로 봉쇄조치를 내리고 수입 수요가 줄어들면 한국의 대중 수출 감소에 이어 경제성장률 하락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다.

연구원은 중국의 봉쇄조치를 △봉쇄강도(전면 또는 부분) △봉쇄지역 크기(중국 GDP 비중 10~50%) △봉쇄기간(6~10주) 등으로 구분해 분석했다.

그 결과 현실적인 시나리오 가운데 하나인 ‘중국 GDP의 30%를 차지하는 지역에 8주 전면 봉쇄’ 시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은 3.4%, 한국의 GDP 성장률은 0.26%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금까지 중국이 봉쇄조치를 내린 지역은 상하이와 베이징 두 곳이다. 해당 지역은 중국 GDP에서 7.4%의 비중을 차지한다.

봉쇄지역이 추가돼 GDP에서 10% 수준이 되면 봉쇄 기간에 따라 중국 GDP는 0.85%p(6주)~1.4%p(10주) 하락하고, 한국의 GDP 성장률은 0.06%p~0.11%p 하락할 것으로 나타났다.

봉쇄가 중국의 광둥(중국 GDP의 10.9%), 장쑤(10.1%)까지 확대되면 봉쇄지역의 경제비중은 중국 GDP의 30%에 육박하게 된다. 이 경우 봉쇄에 따른 한국의 GDP 성장률은 최소 0.05%p(6주 부분 봉쇄)에서 최대 0.32%p(10주 전면 봉쇄)까지 하락할 것으로 추정됐다.

같은 조건에서 8주 전면 봉쇄 시 제조 산업별로는 전기장비 0.08%p, 화학 0.024%p, 기초 및 가공금속 0.016%p 등 순으로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이 분석한 가장 강력한 봉쇄 시나리오인 GDP 비중 50% 수준의 봉쇄가 10주간 이어지면 한국 GDP는 0.53%p까지 하락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강내영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중국 내 오미크론의 통제가 예상보다 길어지고 있는 가운데 봉쇄조치로 야기된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가 중국에 대한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변국들의 성장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며 “중국의 봉쇄조치 장기화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우리 정부와 기업의 대비책 마련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