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외지인 서울 주택 매입비중 30.3%…2006년 이래 최대

입력 2022-05-18 10:3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매입비중 가장 높은 곳은 용산구

▲외지인 서울 주택 매입비중. (자료제공=경제만랩)
올해 1분기(1~3월) 서울 주택 거래 10건 중 3건은 외지인이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선 여전히 주택 공급 부족 현상이 해결되지 않았고 집값이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학습효과로 외지인 주택 매입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분위기다.

18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한국부동산원의 주택매매 거래현황을 살펴본 결과, 올해 1분기(1~3월) 서울 주택 거래량 1만4544건 중 외지인이 매입한 거래량은 4406건(30.3%)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6년(1분기 기준) 이래 역대 가장 높은 비중이다.

서울에서도 외지인 매입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용산구로 확인됐다. 용산의 주택 매매량 282건으로 나타났다. 그중 외지인이 매입한 거래량은 111건(39.4%)에 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어 △금천구 39.3% △강서구 39.0% △송파구 38.1% △양천구 37.3% △서초구 35.3% △영등포구 35.3% △도봉구 32.6% △강북구 32.5% △관악구 31.4% 등으로 집계됐다.

윤석열 정부가 지난 10일 출범과 동시에 1년간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중과를 유예하기로 하면서 주택 매물이 늘어나고 있지만, 서울 주택의 똘똘한 한 채의 선호도는 여전해 외지인들의 주택 매입비중 상승세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서울을 거주하지 않는 타 지역거주자와 다주택자들이 외곽 지역의 주택을 처분하고, 고가의 서울 주택 한 채를 택하는 ‘똘똘한 한 채’ 선호현상이 올해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며 “지역 간 주택 가격 격차가 벌어지는 양극화도 더욱 심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