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10곳 중 7곳 “새 정부 경제정책 기대”

입력 2022-05-08 15:2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내 기업 72.7% "새 정부 경제정책 기대"
기업, 물가·환율·공급망 경색으로 피해본다
성장동력 회복·물가안정 위한 지원 필요해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최근 물가·환율·공급망 경색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이 새 정부의 경제정책 방향에 높은 기대감을 표했다.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가 국내기업 322곳을 상대로 ‘새정부 경제정책과 최근 경제상황’을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72.7%가 ‘기대한다’고 답했다고 8일 밝혔다.

구체적으로 ‘매우 기대함’은 7.5%, 기대함은 65.2%였으며 ‘기대 안 함’은 17.4%, ‘전혀 기대 안 함’은 9.9%였다.

답변의 이유를 물어본 결과 기대 요인은 ‘시장·민간중시의 정책기조(47.9%)’와 ‘규제 개혁 의지(35.3%)’로 꼽혔다. 반대로 우려 요인은 ‘정치 이슈(65.9%)’, ‘공급망 등 대외 리스크(14.8%)’로 지목됐다.

기업들은 경제정책에 반영돼야 할 키워드로 공정(52.5%), 혁신(51.9%), 성장(50.9%)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미래(39.1%), 시장(33.9%), 소통(31.7%)이 포함돼야 한다는 응답도 많았다.

새 정부의 경제정책 성공요건에 대해선 기업 10곳 중 9곳 이상이 ‘투자·인프라 지원’과 ‘규제 혁파’를 꼽았다. ‘미래를 위한 투자·인프라 지원’은 96.3%, ‘규제 혁파를 통한 기업혁신 유도’는 90.4%의 기업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노사 갈등 조정(86.8%)’, ‘민관협업시스템 마련(82.2%)’ 등이 뒤를 이었다.

물가·환율·공급망 경색 3중고…대기업-중소·중견기업 간 위기 체감도 달라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대한상의는 물가, 환율, 공급망 경색 등 ‘삼중고’가 미치는 피해와 기업의 대응에 대해서도 조사했다.

최근 고공행진 중인 물가에 대해서는 응답 기업의 77.3%가 ‘피해를 보고 있다’고 답해 가장 큰 경영 리스크로 조사됐다. 기업들이 받은 피해 내용은 ‘생산원가 상승에 따른 채산성 악화(58.6%)’, ‘제품·서비스 수요 감소(45.4%)’가 주를 이뤘다. 기업들은 이에 ‘제품 가격을 인상(39.78%)’하거나 ‘마케팅, 판촉비용 등을 절감(35.7%)’ 등으로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을 축소하거나 구조조정 한다’는 기업도 28.5%에 달했으며, ‘대응 수단이 없다’는 기업도 21.3%로 조사됐다.

급등한 환율로 피해를 본 기업은 51.6%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수입 원자재가격 상승에 따른 제조비용 증가(68.7%)’를 가장 많이 지적했다. ‘가격경쟁력이 높아져 수출이 늘었다’고 답한 기업은 17.5%에 그쳤다.

다만 환율 급등에 대한 체감도는 기업 규모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대기업은 환율 영향으로 ‘제조 원가가 증가했다’고 답한 기업이 59.3%인 반면, 동일 문항에 대한 중소·중견기업의 응답은 73.8%였다. ‘가격 경쟁력 제고로 수출이 증가했다’는 응답은 대기업 27.1%, 중소·중견기어 12.2%로 두 배 이상 차이 났다.

공급망 경색으로 피해를 본 기업은 52.5%로 조사됐다. 피해내용은 ‘원자재·부품 부족으로 생산 차질’을 겪고 있는 기업들이 69.2%로 가장 많았다. 공급망 차질에 대한 대응으로는 ‘공급망 다변화 조치(50.3%)’, ‘선구매를 통한 재고 확보(41.4%)’ 등의 응답이 많았다. ‘생산·판매 활동을 국내로 전환’했다는 답변도 19.5%로 나타났다.

성장동력 회복·물가안정이 최우선 과제…“정부 맞춤형 지원 절실”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삼중고’ 경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새 정부가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성장동력 회복(37.9%)’, ‘물가안정(35.4%)’이 꼽혔다. 다만 우선 순위는 기업 규모별로 차이를 보였다. 대기업은 ‘성장동력 회복’을 45.8%로 가장 중요하게 여긴 반면 중소·중견기업은 ‘물가안정’을 38.6%로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답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실장은 “우리 경제는 물가·환율·공급망과 같이 현재 직면 위기 요인을 돌파해야 하는 100m 경기와 중장기적으로 성장동력을 끌어올려야 하는 마라톤 경기를 동시에 뛰어야 하는 상황”이라며 “새 정부는 각각의 위기 요인에 대해 맞춤형 지원체계를 수립하고 미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기업들의 발목을 잡는 규제를 덜어주는 데 앞장서길 바란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