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t코인] 비트코인, 긴축 기조 현실화에 사흘째 하락…“지루한 상황 계속될 것”

입력 2022-05-08 09:54수정 2022-05-10 09:1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미국의 금리 인상 이후 반짝 상승했던 비트코인이 사흘째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긴축 기조가 현실화되면서 투자심리가 급격히 얼어붙고 있다.

8일 오전 9시00분 가상자산(암호화폐) 통계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1.50% 하락한 3만5502.32달러(각 거래소 평균가)에 거래됐다. 이더리움은 2.18% 내려 2636.11달러로, 바이낸스코인은 3.57% 하락한 365.73달러로 나타났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코인 중 루나의 낙폭이 가장 컸다. 리플(XRP) -3.35%, 솔라나 -3.40%, 카르다노(에이다) -2.72%, 테라(루나) -11.89% 등으로 집계됐다.

전일 마감한 뉴욕증시는 4월 고용이 예상치를 웃돌았다는 소식에도 인플레이션 우려가 지속되며 하락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98.60포인트(0.30%) 하락한 3만2899.37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3.53포인트(0.57%) 떨어진 4123.34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73.03포인트(1.40%) 밀린 1만2144.66으로 장을 마쳤다.

다우지수는 6주 연속 하락했고,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5주 연속 떨어졌다. 다우지수는 올해 들어 10%가량 하락했고, S&P500지수는 14%가량, 나스닥지수는 23%가량 밀렸다.

증시와 코인 시장은 미국이 본격적으로 긴축 기조에 들어갈 것이란 신호에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은 75bp 금리 인상은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고 언급했으나 앞으로 두 번의 회의에서 50bp 금리 인상이 검토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는 연준이 당분간 공격적인 긴축 기조를 지속할 것이라는 얘기다.

문제는 연준의 공격적 긴축으로 경기가 가파르게 둔화하는 경착륙에 직면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졌다. 래리 서머스 전 미국 재무장관은 미국 경제가 연착륙하거나 인플레이션이 떨어질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주장했다.

그동안 연준은 연착륙에 성공할 수 있다고 주장해왔으나, 시장의 의구심은 지속되고 있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날 연설에서 연준이 이미 신호를 보낸 금리 인상과 대차대조표 축소의 선제 안내를 따라가면서 중립 금리 수준이 어디에 있는지를 계속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트코인과 주식이 최근 큰 폭 하락했지만, 시장은 빠른 시일 내 회복되지 못하고 고통이 더 지속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마이클 노보그라츠 갤럭시 디지털 최고경영자(CEO)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지금 상황은 2008년, 2001년, 그리고 코로나 팬데믹 위기 때와 다르다고 지적했다. 노보그라츠는 “V형 회복을 만들어낼 유동성의 대규모 주입은 없다”면서 “시장은 하락할 것이며 새로운 스토리가 나타날 때까지 지루한 상황이 이어진 뒤에야 다시 흐름이 역전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저가 매수 전략에 대해서도 신중할 것을 조언했다. 노보그라츠는 팬데믹 초기 주가 급락 시 저가 매수에 나섰다면 8주일 뒤 영웅처럼 보였겠지만 지금 상황은 영웅이 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시장의 불안과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기관투자자들과 가상자산 장기 보유자들의 관심은 여전히 강력하다고 지적했다. 노보그라츠는 블랙록, 블랙스톤, 시타델, 아폴로가 모두 가상자산 사업 진출을 추진하고 있음을 사례로 제시했다.

가상자산 투자심리는 전날보다 더 악화했다. 가상자산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보다 5포인트 내린 18을 기록했다. 투심이 악화하며 ‘극단적 공포’가 계속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