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4월 소비자 물가 4.8% 상승 무겁게 받아들여"

입력 2022-05-03 09:0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당분간 물가상승압력 지속 전망...유류세 30% 인하 등 물가안정 총력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사진제공=기획재정부)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전년대비 4.8%로 2008년 10월(4.8%)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사실을 무겁게 받아들인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이같이 말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6.85로 작년 같은 달보다 4.8% 상승했다. 이는 2008년 10월(4.8%) 이후 13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국제 에너지 가격이 급등한 데다가 전기요금 인상, 계속되는 글로벌 공급망 차질, 수요 회복 등이 맞물리면서 물가가 가파르게 올랐다는 분석이다.

홍 부총리는 "농축수산물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으나 원유를 포함한 석유류가 3월 31.2% 상승에 이어 4월에도 34.4% 상승했고, 또한 가공식품·외식 등도 오름세를 유지했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주요 선진국 물가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영향 등으로 유례없이 높은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당분간 물가상승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은 이를 반영해 미국(3.5%→7.7%), 유로존(1.7%→5.3%), 한국(1.6%→4.0%) 등 주요국 연간 물가전망을 상향조정했다.

정부는 물가안정을 위한 조치를 적극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이달 1일부터 시행된 유류세 30% 인하분 등이 가격에 신속히 반영되도록 업계와 최대한 협력할 방침이다.

아울러 할당관세 규정 개정을 통해 주요 원자재·곡물 품목에 대한 할당관세 적용과 대체사료인 겉보리, 소맥피 할당량 확대 등도 곧바로 시행한다.

원자재 수급부담 완화를 위해서는 납사 조정관세 인하, 고부가 철강제품 페로크롬 할당관세 인하도 검토한다.

정부는 이러한 조치로 향후 체감 유류비용이 어느 정도 줄어고, 국내 제조업·식품업계의 원가상승 부담이 다소 완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홍 부총리는 "물가의 절대안정 및 물가오름세심리 억제를 위해서는 가계∙기업∙정부가 3인4각 처럼 함께 힘 모으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며 "현 경제팀이 물러나는 마지막 순간까지 물가안정을 위해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