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기업 85% 공급망 위기…“정부 지원 절실"

입력 2022-05-02 12:49수정 2022-05-02 15:4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무협, 전체 수출기업 85.5% 공급망 위기
생산 줄이거나 대응 없는 곳 25% 달해
관계자 "정부 지원 및 선제 대응 필요"

▲‘글로벌 공급망 위기와 우리 기업의 대응현황’ 자료 일부 (한국무역협회 제공)

우리 수출기업 10곳 중 8곳 이상이 글로벌 공급망 위기에 노출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2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글로벌 공급망 위기와 우리 기업의 대응현황’을 발표했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국내 수출기업 1094곳을 상대로 시행한 조사에서 85.5%의 기업이 ‘공급망 위기로 문제를 겪었다’고 답해 글로벌 공급망 위기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꼽은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물류 지연·운송비 폭등 등 ‘물류난(35.6%)’이 꼽혔다. 원자재 가격 상승 및 채산성 악화가 27.8%, 특정 지역 봉쇄로 인한 피해가 16.9%로 뒤를 이었다.

코로나19 팬데믹,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탓에 공급망 교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우리 기업은 핵심 품목의 △대체선 발굴(35.9%) △재고 확보(17.8%) 등으로 위기에 대응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일시적 △생산 감축 및 중단(15.3%) △대응 전략이 없다(12.4%)고 밝히는 등 실질적인 대응이 어려운 기업도 전체 4곳 중 1곳에 달했다.

공급망 문제 해결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부 지원은 ‘물류난 완화(39.4%)’로 조사됐다. 물류 지연 해소를 위한 선복 확보, 운임비 등의 지원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이밖에 선제적 위기관리 및 대응을 위한 ‘공급망 조기 경보시스템 운영(20.8%)’ 등 제도적인 차원의 지원도 필요하다는 응답이 나왔다.

박가현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최근의 공급망 위기는 국제 정세, 자원 민족주의, 기후변화 등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데다 산업에 미치는 영향도 점점 커지고 있다”며 “공급망 위기 극복과 기업의 회복 탄력성 제고를 위해 정부는 물류난 등 문제 해결에 힘쓰는 한편 상시 모니터링 강화를 통해 기업들이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