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전문가 10명 중 6명 “서울 집값 올해도 오르고, 2년 뒤에나 안정”

입력 2022-04-19 15:2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경련 설문…부동산 전문가 90% “지난 5년 부동산정책 미흡”

(출처=전경련 ‘차기정부 주택정책 관련 전문가 의견조사’)

한국 부동산 전문가 10명 중 6명이 올해 서울 집값이 오르고, 2년 뒤에나 집값이 안정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차기 정부의 주택가격 안정화 방안과 관련해 대해서는 재건축ㆍ재개발 규제 완화와 양도세 한시적 완화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9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한국부동산학회 소속 부동산 전문가 55명을 대상으로 ‘차기 정부 주택정책 관련 전문가 의견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절반 이상(58.2%)의 부동산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주택가격이 안정되는 시기를 2년 이후로 예상했다.

주택 관련 세금 부과 방향과 관련해서는 응답자의 54.5%가 ‘보유세 강화, 양도세 완화’를 꼽았다. 그다음으로는 ‘보유세 완화, 양도세 완화’(31.0%), ‘보유세 완화, 양도세 강화’(12.7%) 등의 순서로 응답했다.

또 부동산 전문가 10명 중 6명(61.8%)은 지난해보다 올해 서울 주택(아파트 등) 매매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0%∼5% 사이에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27.3%로 제일 많았고, 평균 2.1%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비수도권 주택(아파트 등) 매매가격에 대해서는 60%의 부동산 전문가들이 하락할 것이라 예상했다. 5%∼10% 사이에 하락할 것이라는 응답이 30.9%로 제일 많았고, 평균 2.1%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환익 전국경제인연합회 산업본부장은 “국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차기 정부는 규제 완화를 통해 민간 주택시장을 정상화하고, 공공투자를 통해 서민을 위한 주거복지 시설을 확충하는 방향으로 주택정책을 시행하기를 바란다”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