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중국, GDP 성장률 시장 예상 웃돌았지만…연간 목표치 5.5% 달성 ‘흔들’

입력 2022-04-18 15:20수정 2022-04-18 15:3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성장률 4.8%로 시장 전망 4.4% 웃돌아
3월 고정자산투자·산업생산 둔화 뚜렷
소비는 ‘빨간불’…소매판매 -3.5%로 위축

중국 경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봉쇄 역풍 속에도 비교적 선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3월부터 시행된 고강도 봉쇄 조치에 따른 충격 여파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 중국 정부가 제시한 연간 성장률 목표 5.5% 달성이 어려울 것이란 관측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이날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했다고 밝혔다. 시장에서는 예상보다 선방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직전 분기인 지난해 4분기(4.0%)보다 개선된 것은 물론 시장 전망치(4.4%)를 웃도는 것이기 때문이다. 경제 모멘텀을 더 확실하게 보여주는 전 분기 대비 성장률은 1.3%를 기록해 직전 분기(1.6%)보다는 둔화했지만, 전문가 예상치(0.6%)를 크게 뛰어넘었다.

다른 경제지표도 대체로 시장의 예상을 웃돌며 선방했다. 하지만 내수가 크게 주춤한 모습을 보이고, 산업생산과 고정자산투자 등도 연초와 비교하면 뚜렷한 둔화세를 보였다. 3월 중국 산업생산 증가율은 5.0%로 시장 전망 4.5%는 상회했지만, 1~2월의 7.5%에서 낮아졌다. 소매판매 증가율은 1~2월 6.7%에서 3월 마이너스(-) 3.5%로 위축됐다. 올해 1분기 농촌을 제외한 고정자산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9.3% 증가해 1~2월의 12.2%에서 둔화했다. 중국은 일주일간의 춘제(설날) 연휴 변수를 고려해 연초 경제지표는 1~2월 통계를 합산해 발표한다.

중국 경제는 작년 하반기부터 심각한 부동산 시장 위축 등 여파로 냉각되는 추세였다. 그러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공급망 제약 심화와 함께 3월 들어 중국의 기술·금융·무역 중심지인 선전과 상하이를 포함한 대도시들이 잇따라 전면 또는 부분 봉쇄되면서 경제 타격이 커졌다. 중국은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오면 해당 주거지를 봉쇄하는 이른바 ‘제로 코로나’ 방역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1분기 지표에는 3월부터 시작된 상하이 봉쇄 조치가 완전히 반영되지 않았다며 중국 정부가 제시한 올해 ‘5.5% 전후 성장률’ 달성이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한다. 블룸버그는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이 5%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골드만삭스 등 일부 은행은 4.5%까지 하락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번 봉쇄 조치가 중국 경제에 끼치는 피해가 2020년 코로나19 초기였던 우한 사태 때를 능가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를 의식한 중국 공산당 지도부가 지방 인프라 투자를 가속화해 경제 성장을 지지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경기둔화 우려와 함께 한껏 고조된 주민 반발을 의식해 상하이시도 이번 주를 격리 조치 관련 전환점으로 삼고 봉쇄령을 완화할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봉쇄조치를 완화해도 공급망 제약 등 경제적 타격이 곧바로 해소되지 않아 경기둔화 우려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