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윤석열, 광화문 아닌 용산 국방부 청사로…"국민과 소통 더욱 강화하겠다"

입력 2022-03-20 13:1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집무실 광화문 이전' 공약 변경해
"경호 조치로 인근 시민 매우 불편"
국방부 청사 합참청사로 이전키로
공관은 육참총장 관사…5월 10일부터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0일 서울 종로구 한국금융연수원 별관에 마련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회견장에서 청와대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 관련 기자회견을 한 뒤 인사하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광화문 정부 청사가 아닌 용산 국방부 청사로 집무실을 이전하기로 했다. 광화문 청사는 경호 문제로 시민들에게 불편을 끼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윤 당선인은 5월 10일 취임과 동시에 국방부 청사로 출근한다.

윤 당선인은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삼청동 한국금융연수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광화문 정부 보유 청사를 대상으로 집무실 이전 방안을 면밀하게 검토한 결과 쉽지 않은 문제임을 절감했다"며 용산 국방부 청사로 집무실을 이전하겠다고 밝혔다.

애초 윤 당선인은 선거 과정에서 '광화문 집무실'을 공약으로 내걸면서 청와대를 국민에게 돌려드리겠다고 약속했다.

이후 당선인 신분으로 광화문 정부 청사 사용을 검토했으나, 시민에게 불편을 끼칠 수 있다고 판단해 이를 접었다. 윤 당선인은 "최소한의 경호 조치에 수반되는 광화문 인근 시민의 불편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파악됐다"며 "청와대 내 일부 시설 사용 역시 불가피해 청와대를 시민에게 완전히 돌려드리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용산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 구역은 국가 안보 지휘 시설 등이 구비돼 있어 청와대를 시민께 완벽하게 돌려드릴 수 있고 경호 조치에 수반되는 시민의 불편도 거의 없다"며 "용산 지역은 이미 군사시설 보호를 전제로 개발이 진행됐으며 청와대가 이전하더라도 추가적 규제는 없다"고 강조했다.

국방부는 바로 옆에 있는 합참 청사로 옮기고, 합참 청사는 남태령으로 이동한다. 윤 당선인은 "국방부가 합참 청사로 이전해서 함께 쓰게 되면 이전에 있어 다소 어려움은 있지만, 충분히 가능하다고 판단한다"며 "합참청사는 전시작전권 행사를 고려해 한미연합사와 함께 건물을 사용하도록 건립됐다"고 밝혔다. 이어 "연합사가 평택으로 이전해 본관의 여유가 있기 때문에 국방부가 합참청사로 이전해 함께 사용하는 데에 큰 어려움은 없다고 판단한다"고 부연했다.

또 "연합사가 평택으로 이전함에 따라 전쟁 지휘본부가 있는 남태령으로 (합참이)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대통령 공관은 육군참모총장 관사를 사용하기로 했다.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를 담당한 윤한홍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관저는 한남동 공관"이라며 "6개 공관 중 제일 안 쓰는 육참공관"이라고 설명했다.

윤 당선인은 5월 10일 취임 후 곧바로 국방부 청사로 출근할 예정이다. 그는 "취임식을 마치고 바로 입주해 근무를 시작할 생각"이라며 "(공관부터) 교통 통제하고 들어오는 데 3~5분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한다. 시간을 적절히 활용하면 시민에 큰 불편은 없으리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