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출권거래제 참여기업 10곳 중 9곳 “탄소중립 목표 수립”

입력 2022-03-20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탄소감축 투자 정부 정책 지원 필요”

(출처=대한상의)

국내 배출권거래제 참여기업 10곳 중 9곳이 탄소중립 목표를 수립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배출권거래제에 참여 중인 기업 346곳을 대상으로 ‘배출권거래제 참여기업의 탄소중립 이행실태’를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91.6%가 탄소중립 목표를 수립했다고 20일 밝혔다. 목표를 수립하지 못한 기업은 8.4%에 그쳤다.

탄소중립 달성 시기는 2050년이 76.3%로 가장 많았다. ‘2050년 이전에 달성하겠다’는 응답이 17.7%로 뒤를 이었다. 2060년을 목표로 하는 기업은 6.0%에 불과했다.

추진 계획에 대해서는 응답 기업의 47.4%가 ‘아직 계획이 없다’고 답했고, 26.3%는 ‘추진 예정’이라고 응답했다. ‘탄소중립 이행사업을 추진 중’인 기업은 26.3%에 그쳤다.

기업들은 탄소중립을 이행하는 데 어려운 점으로 ‘투자비용 부족’(34.1%)을 가장 많이 꼽았다. ‘탈탄소기술 등 감축 수단 부족‘(26.9%), ‘재생에너지 인프라 부족’(15.3%), ‘정책 불확실성 및 불합리한 규제’(14.2%), ‘관련 정보 부족’(9.5%) 등도 있었다.

응답 기업의 83.2%는 탄소중립 이행과정에서 정부의 정책자금을 활용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책자금 지원방식으로는 ‘보조금(재정지원)’ 방식(93.8%)을 가장 선호했고 ‘융자’(5.6%), ‘보증’(0.6%) 방식 등이 뒤를 이었다. 지원 희망 분야로는 ‘기존 설비 개선’(39.6%), ‘신규 감축시설 투자’(37.9%), ‘감축기술 개발’(22.5%) 순이었다.

기업들은 정부에 바라는 최우선 정책과제로 ‘탄소감축 투자 지원’(40.8%)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탄소감축 기술 연구개발 지원’(20.2%), ‘재생에너지 기반 구축’(14.7%), ‘법제도 합리화’(13.9%), ‘저탄소제품 수요창출’(9.0%) 등도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탄소감축 기술 연구ㆍ개발(R&D) 지원과 관련해 기업들이 가장 필요한 지원 분야로는 ‘기존설비 효율향상 기술’(29.1%)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서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생산기술’(23.8%), ‘공정가스 대체·저감 기술’(19.7%), ‘자원순환 기술’(14.7%), ‘탄소포집ㆍ저장ㆍ활용(CCUS) 기술’(12.3%) 등이 뒤를 이었다.

김녹영 대한상의 탄소중립센터장은 “해외 제조기업들은 저탄소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정부의 지원을 받아 대규모 R&D와 설비투자를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최근 우리 기업들도 탄소중립을 위기가 아닌 기회로 삼고자 노력하고 있는 만큼 기업이 주도적으로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전폭적으로 지원해달라”고 말했다.

한편, 대한상의는 국가적 차원의 탄소중립 이행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4월 말 ‘탄소중립 국제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