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당 연간 이자부담 340만 원 증가 전망도 나와
‘긴축의 시대’가 본격적으로 도래하면서 대출 이자 부담도 더욱 커질 전망이다.
미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첫 기준금리 인상에 나선 데 이어 추가 인상을 예고하면서 국내 기준금리의 인상 압박이 거세지면서 가계부채의 부실 가능성 역시 커지고 있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내부에서 기준금리를 더욱 가파르게 올려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앞서 미 Fed는 지난 16일(현지시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00∼0.25%에서 0.25∼0.50%로 0.25%포인트(p) 인상했다.
FOMC 위원들의 향후 금리 수준 전망을 반영한 점도표(dot plot)에서 위원의 다수가 올해 말 적정 기준금리를 1.75∼2.00%로 제시했다. 이는 나머지 6차례 회의에서 0.25%p씩 기준금리를 올려야 가능한 수치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결국 국내 기준금리 인상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외국인 투자자의 자금 유출 방지, 적정선의 원화가치 유지 등을 위해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를 유지하고자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올릴 수 있다. 또, 최근 급등한 물가 탓에 추가 기준금리 인상의 명분은 충분하다.
시장에서는 올해 말이면 국내 기준금리가 1.75∼2.00%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0.25%p씩 인상한다고 가정할 때 연내 2∼3차례 추가로 기준금리가 인상될 수 있다는 뜻이다.
기준금리 인상은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져 차주의 부담도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가계 빚(잔액 기준)은 작년 말 기준 1862조1000억 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한 상황이고 금리 민감도가 높은 변동금리 차주의 비중도 올해 1월 기준 76.2%로 전년 동기(69.7%)에 비해 커진 상황이라 대출의 부실 위험성도 커지게 됐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금융 기관의 대출금리가 0.25%p 오르면 가계의 연간 이자 부담 규모는 대출자 1인당 평균 16만1000원이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최대 2.00%까지 기준금리가 상승하고 금융기관의 대출금리 역시 기준금리 인상 폭만 반영한다고 가정했을 경우, 올해만 차주의 이자 부담은 48만3000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금융기관의 대출금리는 기준금리 인상 폭에 가산금리, 우대금리 등을 더해 결정되는 만큼 차주의 부담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민간 연구기관에서는 연 가계대출 이자가 39조7000억 원 증가할 것이란 관측도 내놓았다. 한국경제연구원은 한국 단기 국공채금리가 미국의 적정 금리상승 폭(2.04%p) 만큼 오를 경우의 연간 가계대출 이자 부담 증가액을 이같이 추산하며, 가구당 이자 부담이 340만 원씩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은행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상 폭 이상으로 대출금리가 높아진다고 보면 된다”라며 “당분간 대출 이자 부담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단, 차기 정부가 들어서며 가산금리 등을 들여다보겠다고 한만큼 여러 가지를 고려해야 해 대출금리의 상승 폭은 정확한 예상이 어렵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