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미 FOMC 상황점검회의 개최… "실물 경제 영향 모니터링 당부"

입력 2022-03-17 09:3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다소 매파적… 시장 예상에선 크게 벗어나지 않아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3일 의회에서 질문을 받고 있다. 워싱턴D.C./로이터연합뉴스
한국은행은 17일 미국 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에 따른 국제금융시장 상황과 국내 금융‧외환시장에 미칠 영향을 점검하고 면밀한 모니터링을 당부했다.

이날 오전 박종석 한국은행 부총재보 주재로 열린 '상황점검회의'에서 박 부총재보는 "이번 FOMC 회의결과가 다소 매파적(통화 긴축)인 것으로 평가됐으나 시장예상을 크게 벗어나지는 않았다"며 "우크라이나·러시아간 협상 진전 기대 등으로 국제금융시장에 미친 영향이 제한적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향후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가속 움직임,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의 전개 양상,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이 국내 금융시장과 성장·물가 등 실물경제 전반에 작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이에 대해 면밀히 모니터링해 달라"고 당부했다.

미 연준은 이번 회의에서 정책금리를 현 수준(0.00∼0.25%)에서 0.25%p 인상(0.25∼0.50%)했으며 향후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 및 B/S 축소(양적 긴축) 등에 대해 언급했다.

연준은 정책결정문에서 "인플레이션의 2% 목표치 복귀(return to its 2 percent objective), 강건한 노동시장 유지(labor market to remain strong) 등을 위해 정책금리 인상을 결정했다"며 "향후 지속적인 인상(ongoing increases)이 적절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발표했다.

B/S 축소는 다음 회의(at a coming meeting)에서 시작할 것임을 언급했다.

인플레이션 전망치(2022년 2.6%→4.3%, PCE, 중간값 기준)는 큰 폭 상향 조정했으며, 올해 성장률(4.0%→2.8%, 실질)은 큰 폭 하향 조정했다. 실업률(3.5%)은 유지했다.

FOMC 위원들의 정책금리 기대를 보여주는 점도표(dot plot)도 상향 조정(2022년 말 0.9%→ 1.9%)돼 다수의 참석자가 앞으로 6차례 추가 금리인상(22년중 총7회)을 예상했다.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높은 인플레이션이 고착화(entrenched)되지 않도록 정책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며 물가안정에 초점을 맞춰 통화정책을 운영할 것임을 언급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