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객수요 회복될 하반기에도 고가일 경우 실적 악화
운임 높아 안심하던 해운업계도 ‘예의주시 중’
HMM은 우크라 사태로 극동 노선 잠정 중단도
국제유가가 상승하면서 항공유ㆍ연료유 가격도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매출 원가에서 연료비 비중이 큰 항공업계와 해운업계의 시름이 깊어질 전망이다.
13일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 따르면 4일 아시아 지역의 항공유 가격은 배럴당 126.65달러로, 지난해 3월보다 81.7% 올랐다. 코로나19 사태 이전 2019년 1월 가격이었던 46.57달러와 비교하면 171%가량 급등했다.
통상 항공사의 매출원가에서 연료비가 3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연료비가 1조8000억 원을 기록하면서 2020년 1조2474억 원과 비교해 44.3% 증가했다. 아시아나항공도 지난해 누적 연료비가 6353억 원으로 2020년 동기간 연료비보다 12.8% 늘었다.
다만 국내 대형 항공사(FSC)의 경우 화물 사업량이 많아 연료비 상승이 당장 실적을 크게 훼손하지는 않는다. 실제로 항공 화물 운임은 한동안 강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양지환 대신증권 연구원은 “항공유 가격이 상승한 상황에서 유럽 항공사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어 유럽 항공사의 동아시아 운항 서비스가 줄어들 전망”이라며 “이는 공급 부족 상황으로 이어지고 있는 항공 화물운임 강세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고 설명했다.
다만 여객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보이는 하반기에도 항공유가 고가를 유지할 경우 실적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자본 규모가 적은 저비용항공사의 경우, 고유가 상황으로 인해 여객 수요 회복이 기대에 못 미치면 영업적자 상황이 계속되면서 재무 안정성 우려가 확대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고유가 상황에 긴장하고 있는 것은 해운업계도 마찬가지다.
11일 기준 글로벌 20개 항구의 평균 초저유황중유(VLSFO) 가격은 톤(t)당 958.5달러를 기록했다. 지난달 11일 기록한 732.5달러 대비 30%가량 증가했다.
저유황유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고유황유(IFO380) 가격도 크게 올랐다. 같은 날 고유황유 가격은 톤당 701.5달러를 기록하며 지난달 대비 24% 상승했다.
해운업종의 유류비는 전체 매출의 약 10~25%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내부적으로 부담이 높아지고 있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최근까지는 고(高)운임이 이어지면서 연료유 가격이 올라도 무방했지만, 이제 운임이 하락한 만큼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유가가 오른다고 해서 유류할증료를 전부 전가할 수는 없는 만큼 예의주시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국내 최대 컨테이너 선사인 HMM은 14일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로 러시아로 향하는 극동노선의 운항까지 잠정 중단한 상태다.
HMM 관계자는 “우크라이나 사태로 물동량이 급감하면서 운항에 어려움이 발생해 불가피하게 예약을 잠정 중단했다”며 “시장 상황을 주시하면서 서비스 재개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HMM이 예약을 중단한 노선은 부산∼보스토치니, 부산∼블라디보스토크 노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