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해운사 러시아 해상 운송 잇단 중단
11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 따르면 2월 24일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미국을 비롯한 서방의 고강도 러시아 제재가 시작돼 러시아를 비롯한 전 세계 다양한 해운사들이 해상 운송에 적지 않은 문제점에 직면했다.
우선 러시아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선박 중 러시아 국영선사 페스코의 컨테이너선 2척을 포함해 총 5척의 선박이 미국의 대러 제재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유럽연합(EU)의 대러 제재가 시작된 후 덴마크 해운 최대기업인 머스크 사는 우크라이나행 화물 운송을 중단했고 2월 24일부터 우크라이나 항만으로의 선박 입항도 금지했다. 3월부터는 러시아행 및 러시아발 해상·육상 운송의 새로운 주문을 더는 받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머스크사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항만 컨테이너 물동량의 약 20%를 점유하고 있다. 다만 머스크사는 식료품·의약품 및 인도주의적 지원 물품에는 적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또 스위스 해운 기업 MSC 사는 가까운 시일 내에 운송 조건 등이 변경될 수 있다고 고객사에 알렸고 미국 해운사 쉽코(Shipco)는 러시아·벨라루스·우크라이나 관련 운송 예약을 중단했다.
유럽의 하팍로이드(Hapag-Lloyd)사는 2월 중순께 흑해와 아조프해의 러시아, 우크라이나 수역을 군사 위험이 큰 지역으로 규정해 선사의 몇몇 컨테이너 운송 라인 주문을 전면적으로 거절하고 있고 컨테이너 라인을 제외한 다른 운송의 경우 우크라이나와 관계된 운송 예약만 중단했다.
그 밖에 여러 선박은 러시아 지역이 위험하다는 선장의 판단에 따라 러시아 항만 기항을 중단하고 있다. 국내 최대 선사인 HMM도 조만간 러시아행 운항 중단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상황 전개는 자동차 시장에도 영향을 줘 러시아 항만으로의 우크라이나 선원들의 기항을 거부함에 따라 자동차 부품 공급망에 차질이 생겼으며 이 같은 공급 차질 문제는 건축자재를 포함한 다른 부문에서도 연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해 11월 기준 러시아의 동아시아지역 주요 수출입 품목은 광물, 연료 및 에너지, 식료품 및 원자재, 기계류 순으로 관련 산업에서 공급망 차질도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