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당선] 재계 총수와는 악연…"시장경제주의" 공약에 기대

입력 2022-03-10 15:1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당선 인사 기자회견에서 환한 표정으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윤석열 후보의 당선으로 재계는 긴장과 기대감이 복잡하게 엇갈리는 분위기다.

굵직굵직한 재벌기업 수사를 맡아 한때 ‘재벌 저승사자’로 불렸던 강골 검사 출신인 만큼, 친분보다는 악연이 많기 때문이다.

그나마 정치인으로 입문한 이후에는 “규제 혁신과 시장 경제주의” 등을 강조하는 등 친기업 행보를 이어온 덕에 "향후 재계와의 소통을 강화하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온다.

먼저 삼성전자와 악연은 2017년이 절정에 달했다. 윤 당선인은 당시 국정농단 사건 때 특별검사팀의 수사팀장이었다. 그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 대해 뇌물공여 등의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고, 법원이 이를 기각하자 영장을 재청구해 결국 이 부회장을 구속했다.

2012년에는 계열사 자금 수백억 원을 빼돌린 혐의로 SK그룹 최태원 회장을 수사해 불구속기소 했다. 당선인이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장이던 때다. 최 회장은 1심에서 실형을 받아 결국 법정 구속됐다.

오래전 일이지만 현대차와의 악연도 뚜렷하다. 2006년 대검 중수부에 파견돼 현대차 비자금 사건 수사를 맡았다. 1000억 원대의 현대차 비자금 사건 수사를 통해 끝내 정몽구 회장을 구속기소 시켰다.

당시 정상명 검찰총장에게 "수사결과 정몽구 회장을 구속해야 한다"라면서 동시에 사직서를 같이 내밀었다는 일화도 알려져 있다. 정 회장은 이후 2008년 8ㆍ15 대통령 특별사면(형선고실효 및 특별복권)됐다.

주요 기업과의 악연 탓인지 정치에 입문한 이후에도 기업과는 거리를 두는 모양새가 역력했다. 경쟁 후보가 주요기업의 사업장을 찾아 정치 선언을 반복하는 가운데에서도 윤 당선인은 경제단체를 예방하는 수준으로 운신의 폭을 줄였다.

공약 대부분이 기업 규제에 맞물려 있다는 사실도 기업으로서는 부담이다. 예컨대 △기업의 물적 분할 규제 강화 △노동 이사제 확대 △피인수 기업 주주에게 매수청구권 부여 등이 대표적이다.

다만 재계는 윤 당선인이 꾸준히 강조해온 '시장경제주의'에 희망을 걸고 있다.

앞서 윤 당선인은 “대통령이 되면 일자리 만들어주는 기업인을 업고 다니겠다”, “해외 나간 공장을 국내로 다시 들여오는 기업이 있으면 규제를 풀어주고 세금을 깎아주겠다”는 등의 기업 친화적인 발언을 쏟아낸 바 있다.

재계 관계자는 “한표 한표가 절실한 선거운동 시절에는 가는 곳마다 입맛에 맞는 공약을 여과 없이 내뱉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경영계 간담회에서는 ‘친기업’을 외치고, 뒤돌아서 노동자들과 만나면 ‘노동자 우선’을 주장했다. 다만 선관위 공약집만 봐도 기업보다 노동계의 입장을 더 대변하고 있는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