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제20대 대선에서 패배하면서 민주당 진영은 후폭풍에 휩싸일 전망이다. 청와대에 입성하게 될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정계 개편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10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재명 후보의 패배 책임에 대한 ‘네탓’ 공방 속 친이재명계와 친문재인계 세력 간 첨예한 갈등에 따라 분당의 위기까지도 점쳐진다. 당 안팎에선 제2의 열린우리당 분당 사태에 대한 트라우마도 감지된다.
황태순 정치평론가는 “민주당의 경우 정치개편이란 표현보다 변화가 맞다”며 “대선 패배 책임론 공방을 두고 분당의 위기를 맞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황 평론가는 “이재명 후보 지지 세력과 이낙연 전 대표를 비롯한 ‘오리지널 친문 세력’으로 분열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다만, 친문 세력에선 이낙연 전 대표의 재기 가능성이 주목된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이낙연이 후보였더라면’이란 지지자들 내 여론이 일 수 있지만, 친노, 친문 적자가 아니었던 이낙연 전 대표의 의원 지지 기반은 약하다. 이렇듯 구심점을 잃은 친문 세력이 공회전을 하는 동안, 오히려 정세균계(SK)가 고개를 들 것”이라고 분석했다.
곧바로 지도부 총사퇴 후 비대위 체제로 전환됨에 따라, 인적 쇄신 요구가 거셀 전망이다. 이 평론가는 “6월 지방선거, 8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쇄신공천 및 세대교체 바람이 불어닥칠 것”이라며 “송영길 대표와 우상호 의원의 총선 불출마 선언 약속이 이행될지 주목된다”고 밝혔다.
앞서 송영길 대표는 지난 1월25일 “저 자신부터 모든 기득권을 내려놓고 ‘이재명 정부’ 탄생의 마중물이 되겠다”며 22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바 있다. 우 의원 역시 지난해 서울시장 선거 당내 경선에 참여하면서 총선 불출마를 공언했다. 우 의원은 송 대표와 함께 연세대 81학번 동기로, 40년 가까이 ‘86그룹’ 맏형 역할을 해왔다. 이후 세대교체를 위해 당내 주요 세력이었던 86그룹 인사들이 물러나야 한다는 취지의 ‘86 그룹 용퇴론’이 대두됐으나 후속타가 이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대선 패배에 대한 책임 공방이 가열하면서 민주당 내 진영 간 대결이 극화할 전망이다.
한편 윤 당선인이 대선 승리하면서 정국은 ‘여소야대’로 변모한다. 이 평론가는 “윤석열 당선인이 당권을 장악하려고 하면서 이른바 ‘윤핵관’ 중심으로 오는 6월 지방선거부터 공천권을 쥐고 이른바 친윤석열계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황 평론가는 “윤석열 당선인이 안철수 후보와 단일화하면서 합당을 약속한건데, 이는 변수라고도 볼 수 없다”며 “국민의당 비례의원 3명이 들어온다고 당내 지형이 달라지는 건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 소장은 “초대정부 내각이 급선무인 상황에서 정계개편이 쉽게 일어나진 않을 것”이라면서도 “국민의힘과 국민의당 합당 논의에선 지분 협상 등 복잡한 진통이 예상된다. 만일 안철수 후보가 국무총리로 입각하게 되면 수월하게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엄 소장은 “여권 내에선 안철수 후보와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경쟁관계에 놓이면서 차기 주도권을 놓고 상당한 진통이 뒤따를 것”이라고 밝혔다. 또, 차기 총선을 위한 과반의석득표 목표도 진영 내 과제다. 이 평론가는 “국민의힘은 172석의 압도적 다수당인 민주당과 협치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총선 이후 다수당이 되지 않는 한 ‘불임정권’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