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로봇 R&D·보급에 2440억 투입…서비스로봇 1600여 대 보급

입력 2022-03-06 13:2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고령화, 감염병 상황 장기화 등 사회문제 해소 위한 서비스 로봇 개발

▲산업통상자원부 전경. (이투데이DB)

정부가 올해 제조·서비스로봇의 연구개발(R&D)과 보급에 2440억 원을 투자해 병원·식당 등 생활시설을 중심으로 1600대 이상의 서비스 로봇도 보급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로봇산업정책심의회를 통해 산업 디지털 전환의 매개체로서 로봇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2022년 지능형 로봇 실행계획'을 심의·의결했다고 6일 밝혔다.

실행계획은 제3차 기본계획(2019~2023년)의 주요 추진과제인 △뿌리·섬유·식음료 등 3대 제조업 중심 제조로봇 보급 △돌봄·웨어러블·의료·물류 등 4대 서비스로봇 분야 집중 육성 △로봇산업 생태계 기초체력 강화 이행을 위한 세부 계획을 담고 있다.

정부는 제조·서비스로봇의 연구개발 및 보급확산을 위해 1년 전보다 10% 증가한 2440억 원을 투자한다. 이번 계획을 통해 제조·서비스로봇에 대한 투자와 지원을 이어나가는 한편, 로봇 친화적 환경조성을 위한 규제개선에도 힘쓸 예정이다.

먼저 제조현장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위해 로봇 활용 표준공정모델을 추가 개발하고 이미 개발된 모델의 보급확산에 주력할 계획이다. 특히 기존 3대 제조업(뿌리·섬유·식음료)뿐 아니라 전후방 연관 효과가 큰 항공, 조선, 바이오 화학 등을 중심으로 표준모델 개발을 확대한다.

아울러 개발된 표준공정모델 확산을 위해 기존 모델을 적용한 제조로봇 220대를 현장 실증하고, 수요처 확산·보급을 추진한다. 민간의 자생적 제조로봇 도입 확산을 위해 DB 통합관리시스템을 운영하고, 중고(노후)로봇 재제조를 위한 기술개발 등을 지원하는 '로봇 리퍼브 센터'를 새롭게 구축할 예정이다.

정부는 고령화, 감염병 상황 장기화 등 사회문제 해소에 초점을 둔 서비스 로봇개발과 대규모 실증을 추진하고, 관련 규제개선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HRI(인간 로봇 상호작용) 기반의 반려로봇, 일상생활 보행보조로봇 등의 로봇 개발에 착수하고, 국민생활밀접 시설을 중심으로 1600대 이상 대규모 로봇 보급 및 융합 실증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로봇산업 규제 로드맵 2.0'을 수립하고, 자율주행로봇 보도통행 허용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지능형로봇법 개정 작업도 착수해 로봇 친화적 환경을 만들어갈 예정이다. 로봇산업 생태계 강화를 위한 핵심부품·소프트웨어(SW) 개발 지원과 실증 인프라 구축 및 인력 양성에도 힘쓸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전(全) 산업의 디지털화(고도화)를 실현하고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로봇이 핵심 수단으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제조·서비스 분야의 다양한 로봇 수요를 충족시키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로봇 서비스를 확산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 및 업계와 협조하여 2022년도 실행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