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디지털 물류체계 전환 본격 추진…지원사업 6건 선정

입력 2022-03-03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토교통부는 올해 스마트 물류체계 구축‧지원을 위한 디지털 물류실증단지 조성사업으로 물류서비스 실증사업 4건과 물류시범도시 조성사업 2건을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실증사업은 스마트 물류기술을 활용해 도시물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선도사업을 발굴‧지원함으로써 국민생활 편의를 증진하고 정주 여건을 개선하고자 마련됐다.

물류서비스 실증사업은 기존 도시가 안고 있는 교통 혼잡, 환경 개선 등을 위해 다양한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물류서비스를 실증하는 사업이다. 물류시범도시 조성 지원은 신규 조성도시를 대상으로 물류시설, 물류망, 특화사업 등을 담은 물류계획을 수립하는 사업을 말한다.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공모를 받고 전문가 평가를 거쳐 지원사업을 선정했다. 선정된 지자체는 사업당 최대 20억 원의 국비를 지원받아 해당 지역을 대상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실증하고, 물류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이달 중순부터 사업이 시작된다.

물류사업 실증사업 4건…서울·인천·김해·익산시 등

▲서울, 상생·혁신·스마트 미래물류도시 High 서울! (자료제공=국토교통부)

선정된 물류사업 실증사업을 살펴보면 서울은 '소규모 공동배송센터'를 조성한다. 공동배송서비스란 공동배송센터까지는 택배사 등 물류 사업자들이 각각 배송하고, 가정까지는 지역 주민을 통해 여러 물류사업자의 물품을 한 번에 배송하는 방식을 말한다.

▲서울, 마이크로풀필먼트센터 (자료제공=국토교통부)

또 노량진‧마장동 등 재래시장 내 유휴공간을 활용해 '마이크로풀필먼트센터'를 도입해 농축수산물 등 신선상품을 즉시 배송하는 서비스를 실증한다. 주문 즉시 보관 중인 상품을 출고해 빠른 배송을 할 수 있다.

▲인천, 공유물류망 기반 당일배송 서비스 (자료제공=국토교통부)

인천은 공유물류망 기반 당일배송 서비스를 실증한다. 송도국제도시를 대상으로 실시간 통신기술을 기반으로 물류창고 없이 주차장 등을 활용해 화물차량간 상품을 전달‧배송하는 방식이다.

▲김해시, 바이오 의약품 콜드체인 물류체계 구축 (자료제공=국토교통부)

김해시는 스마트 공유물류센터를 도입한다. 특화산업인 의약품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콜드체인 물류망을 마련하고, 인근 제약사와 의료기관 등을 연계하는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익산시, 마을전자상거래 다이로움 물류서비스 구축 (자료제공=국토교통부)

익산시는 마을전자상거래 '다이로움 물류서비스'를 구축한다. 고령층이 많은 농촌 마을을 대상으로 택배를 발송지까지 직접 가져와야 하는 어려움을 순회 집화 서비스를 통해 해소하고, 지역 전자상거래 플랫폼과도 연계해 나갈 계획이다.

디지털 물류시범도시 조성사업 2건…창원·서울 등

▲창원시, 다차원 공간물류체계와 함께하는 물류혁신도시 구현 (자료제공=국토교통부)

선정된 디지털 물류시범도시 조성사업을 살펴보면 창원시는 마산 해양신도시를 중심으로 지하물류시스템과 친환경 배송서비스 등 물류체계 구현을 위한 계획을 수립한다.

▲서울, 용산전자상가 재정비 연계 디지털 물류계획 수립 (자료제공=국토교통부)

서울은 용산전자상가를 재정비할 필요에 맞춰 늘어나는 생활물류 수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디지털 물류체계 구현 계획을 세운다.

구헌상 국토부 물류정책관은 "이번에 선정된 사업은 스마트 첨단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물류 솔루션들이 제시됐으며 지하 물류 등 미래를 대비한 물류시범도시도 선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선정사업에 대해서는 “지자체, 물류기업 등 민‧관이 힘을 모아 체계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며, 앞으로도 국민이 편리하고 안전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스마트 물류체계를 조성하는 데 힘쓸 것”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