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정국에 미칠 영향은
![](https://img.etoday.co.kr/pto_db/2022/02/600/20220227165146_1722856_652_857.jpg)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2일 야권 단일화를 극적 타결시키면서 제20대 대선 본투표일 6일 앞두고 대선 판세가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에 따르면, 윤 후보와 안 후보는 마지막 TV 토론이 끝난 직후인 2일 심야에 서울 강남 모처에서 만나 이날 새벽까지 2시간 30분가량 회동을 하고 단일화에 전격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는 윤 후보 측에선 그동안 단일화 전권을 쥐고 물밑 협상을 벌여왔던 장제원 의원과 안 후보 측 이태규 의원이 배석했다고 복수의 관계자들이 전했다. 두 후보는 정권 교체에 공감대를 확인했으며, 3일 오전 8시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정·상식·미래’, ‘국민통합’, ‘과학기술 강국’ 등의 키워드를 담은 공동선언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윤 후보와 안 후보는 2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S 본관에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관으로 열린 마지막 TV 토론회에 어두운색 계열 정장과 흰 셔츠, 빨간 넥타이를 매고 참석했다. 이를 두고 같은 옷차림으로 단일화 합의를 암시한 것 아니냐는 반응도 나온다.
이러한 야권 단일화 논의는 수면 위로 떠오른 지 보름이 지났도록 지지부진한 과정이 이어져왔다. 앞서 안철수 후보가 2월 13일 윤석열 후보에 ‘여론조사 방식 단일화’를 공식 제안했다. 이후 협상은 안 후보의 같은 달 20일 회견 이후 완전히 끊어진 듯했지만, 물밑 노력이 계속됐다. 그러던 중 윤 후보가 지난 27일 가진 긴급 기자회견에서 “안타깝게도 오늘 아침 9시 단일화 결렬 통보를 최종적으로 받았다”면서도 “언제든 안 후보와 만나고 싶다”고 밝혔다. 이에 28일 투표용지 인쇄가 시작되면서 야권 후보 단일화는 사실상 무산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우세했다. 4일과 5일 치러지는 사전투표일을 하루 앞두고 담판 형식의 단일화가 전격적으로 이뤄지면서 정권 교체론에 힘을 실을 것으로 보인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2/03/600/20220302210156_1724056_1199_800.jpg)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후보가 양강 구도의 백중세를 견고하게 유지한 데 반해, 안철수 후보는 여론조사 지지율 6%대~8%대에 머물면서 완주 시 실익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재명 후보는 야권 단일화 혼란의 틈을 타 안철수 후보를 비롯해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 등에 정책 연대 러브콜을 보내는 등 반(反)윤(석열) 빅텐트 전략을 꾀했다. 이처럼 통합정부론을 고리로 이 후보가 김동연 새로운물결 대선 후보와 막판 단일화를 성사시키면서, 김 후보는 2일 후보직을 사퇴했다. 또, 이 후보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동생인 박근령 전 육영재단 이사장의 지지를 이끌어냈다.
이처럼 투표일이 다가오면서 ‘정권 교체냐 정권 연장이냐’ 프레임을 두고 지지세가 막판 결집하는 가운데, 핵심 변수로 꼽혔던 윤석열, 안철수 후보 간 단일화 합의가 여론조사 공표가 금지되는 3일부터 대선 정국에 어떠한 파급력을 미칠지 주목된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2/03/600/20220302210155_1724054_1200_71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