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환경보건 정책 수립 전문성 강화…지역 '환경보건센터' 7곳 추가 지정

입력 2022-03-01 12:4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인천·부산 등 대학에 평가단 구성…환경 실태조사 정책 지원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이투데이DB)

지역에서 환경보건 정책 수립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환경보건센터가 추가로 지정된다. 분야별 전문가가 모여 평가단을 구성해 정책을 지원하고, 지역 주민 참여도 이끌어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환경부는 지자체의 환경보건 기반 구축 및 정책 지원을 위해 서울 등 7곳에 권역형 환경보건센터를 지정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에 지정된 환경보건센터는 서울대(서울), 가천대(인천), 대전대(대전), 동아대(부산), 울산대병원(울산), 충북대병원(충북), 제주대(제주) 등이다. 이번 추가 지정으로 권역형 환경보건센터는 기존 강원대병원(강원)과 순천향대천안병원(충남)을 포함해 총 9곳으로 늘었다. 환경부는 전국의 나머지 광역 시·도에도 권역형 환경보건센터를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권역형 환경보건센터는 지역의 환경보건 사전예방적 정책을 전문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맡는다.

주요 추진 사업으로 지자체별 환경보건 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지역 환경보건 쟁점 및 취약(가능) 지역 도출 △주요 유해인자 실태조사 △노출평가 △환경보건 서비스 등을 실시한다.

또 지난해 7월 '환경보건법' 개정에 따라 환경보건 정책 추진의 책임이 강화된 지자체를 위해 지역 환경보건정책 수립 및 실시, 건강영향조사, 청원 등을 지원한다.

아울러 지역의 다양한 환경보건 전문가 및 주민이 참여하는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등 소통체계를 마련하고, 각종 환경 정책을 교육 및 홍보해 환경보건 정책 소통의 중심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박용규 환경부 환경보건국장은 "이번 권역형 환경보건센터 지정으로 지역의 맞춤형 환경보건 정책 수립과 주민이 체감하는 환경보건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며 "환경보건센터가 지역 환경보건 현안 해결에 거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정책지원형 환경보건센터는 현재 순천향대구미병원(환경독성), 한국환경연구소(환경빅데이터), 서경대학교(연구정보),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건강빅데이터) 등이 운영 중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