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2년…기업 규모 큰 코스피 상장사가 코스닥보다 고용충격 더 커

입력 2022-02-21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년간 종업원 수 코스피 상장사 5383명↓, 코스닥 상장사 4463명↑

코로나19 이후 2년간, 코스피 상장사들이 입은 고용 타격이 코스닥 상장사들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 일자리 양극화도 심화하고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019~2021년 3분기 기준 코스피ㆍ코스닥 상장사의 종업원 수를 조사한 결과, 2021년 3분기 기준 상장기업의 종업원 수는 130만6000명으로, 2020년 3분기 130만 명보다 증가했다. 코로나19 창궐 이전인 2019년 3분기 130만7000명에 가까운 수준이다.

다만 시장 규모별로 살펴보면, 상대적으로 기업 규모가 큰 코스피 시장이 코스닥 시장보다 더 큰 고용 타격을 입었다.

코스피 상장사의 종업원 수는 2021년 3분기 105만7000명으로 2019년 3분기 106만2000명보다 5000명 줄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코스닥 상장사의 경우 2021년 3분기 종업원 수는 24만9000명으로 2019년 3분기 24만5000명보다 4000명 늘어 일자리가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전경련은 “전통적인 제조업, 도소매업 등이 많이 포진된 코스피 상장사들은 코로나발 경제위기의 충격을 다소 받은 데 비해, 소프트웨어 개발ㆍ공급업, 전자부품 및 의약품 제조업 등 신산업ㆍ신기술 분야들이 다수 포진된 코스닥 상장사들은 상대적으로 코로나로 인한 4차 산업혁명 가속화의 수혜를 입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지난 2년간 3분기 기준 상장기업 종업원 증가 상위 업종을 살펴보면, 1위는 통신 및 방송 장비 제조업으로 증가 인원은 8174명(7.1%)에 달했다. 그 뒤를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2457명(13.1%) △일차전지 및 축전지 제조업 2367명(15.0%)이 이었다.

같은 기간 감소 상위 업종을 살펴보면, 1위는 종합소매업으로 감소 인원은 5759명(8.6%)이었다. 2위는 영화, 비디오물 등 제작 배급업 3731명(45.4%), 3위는 항공 여객 운송업 2305명(6.1%)으로 조사됐다.

전경련은 “이번 고용 충격은 기업의 경쟁력 약화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코로나19로 인한 대내외 불확실성 등 외부변수의 영향인 만큼 피해 업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현재의 일자리를 지키고, 나아가 코로나 이후 일자리 창출의 선봉장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