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올해 10대 분야 추진과제 발표..."탄소중립 예산 2배로"

입력 2022-02-10 16:4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상반기 '납품단가 연동제' 시범사업 운영

▲중기부 올해 10대 분야 추진과제. (자료제공=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가 올해 중소기업의 탄소중립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예산을 지난해의 두 배로 늘린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기 위해 납품단가 연동제를 상반기에 시범 도입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 성과 점검 및 10대 분야 추진과제'를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해 10일 ‘제54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논의·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10대 지원방안 내용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 대응 △탄소중립·ESG 중소기업 지원 확대 △대·중소기업 상생 및 공정경쟁 생태계 조성 △스마트공장 등을 통한 디지털 전환 △연구개발(R&D) 지원 강화 △구조개선 촉진 △지역 중소기업 혁신 △수출·판로 개척 △자금공급 △맞춤형 인력 지원 등이다.

중기부는 원자재 수급영향 최소화를 위해 중소기업의 금융·세제·정보·물류 등 전방위적 지원에 나선다. 납품단가 연동제 시범사업을 상반기에 진행해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할 계획이다.

중소기업 탄소중립 예산을 약 2배로 확대(작년 2397→올해 4744억 원)하고 ESG 지원도 강화한다. 탄소중립 관련 법령도 마련해 중소기업 공정·경영의 전환을 지원할 계획이다. ESG 체크리스트를 세분화 하고, 관련 교육·컨설팅·수출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자상한기업과 협력이익공유제 확산을 통해 상생생태계도 구축할 방침이다.

연구개발에도 중점을 둔다. 디지털뉴딜과 소부장 등 중점투자 분야 신규 연구개발(R&D)지원을 지난해 4394개→올해 6664개로 확대한다.

중소·중견 수출금융과 수출바우처 지원을 확대하고, 중소기업이 참여하는 공공조달 시장의 공정성·투명성을 개선해 국내·외 판로를 더 넓힐 예정이다. 중소기업·소상공인 정책금융도 184조 원 수준으로 늘린다.

중기부 관계자는 "중소제조기업 중 ’성장 정체 중소기업‘ 비중이 30.9%에 달한다"며 "중소기업 활력 제고와 성장동력화를 위한 10대 분야 과제 추진이 올해 경제 회복과 도약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