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태 회장, 고문 맡을까…KB·우리·신한금융은?

입력 2022-02-09 15:10수정 2022-02-09 17:0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승유 전 회장, 퇴임 후 1년간 고문…계약기간보다 조기 퇴진
KB·우리·신한금융, 고문직 완전히 폐지한 곳 없어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이 10년 만에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면서 향후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하나금융 초대 회장인 김승유 전 회장은 지난 2012년 퇴임 이후 1년간 고문을 맡았다. 그룹 회장의 퇴임 선례가 김승유 전 회장밖에 없는 만큼 김정태 회장도 고문으로 자리를 옮길 가능성도 점쳐진다.

김승유 전 회장은 지난 2012년 회장직에서 물러나면서 그룹 고문을 맡았다. 당시 하나금융은 전임 회장에 대한 고문 기간을 2년으로 뒀다. 그러나 김승유 전 회장은 2012년 말에 이미 고문직에서 내려올 것을 결심했고, 고문 계약 1년째인 2013년 3월에 계약을 종료했다. ‘왕회장’으로 불렸던 김승유 전 회장이 고문에서도 물러난 것은 금융권에서 뜨거운 감자였다.

다만 김정태 회장이 장기간 회사를 이끌어 온 만큼 고문을 맡을 경우 ‘옥상옥’이란 지적도 나올 수 있다. 하나금융 현 경영진이 김정태 회장 때 구성된 상황에서 후선이라 할지라도 고문으로 있으면 영향력이 없을 수 없다는 우려에서다.

KB·우리·신한금융도 고문 자리를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 KB금융의 경우 퇴임 회장이 고문직을 맡은 적은 없었다. 우리금융은 정례화되지 않았을 뿐 고문 제도 자체가 폐지된 것은 아니다.

신한금융은 지난 2018년 한동우 전 회장이 고문으로 있을 당시 상임고문제 폐지 얘기가 나왔으나 현재 제도를 폐지하지 않고 유지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과거의 사례를 보면 김 회장이 고문을 맡을 개연성이 있지만 여러 이슈가 있는 상황에서 고문직을 맡을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