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 추진에 ‘한국 외면→대화전략’으로 급선회

입력 2022-02-06 16:4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일본 외무상 3일 정의용 장관에 전화회담 요청
오는 12일 한일 양자 회담도 검토 중
그간 외면 전략 일관하다 대화에 적극적인 모습 보여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 AP뉴시스

일본 정부가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을 계기로 한국 정부에 대해 외면전략에서 대화 전략으로 선회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5일(현지시간) 일본 산케이신문은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상이 오는 12일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에 맞춰 한일 양자 회담 개최를 검토 중이라면서 일본 정부가 한국과 대화에 적극적인 자세로 돌아서고 있다고 보도했다.

하야시 외무상은 지난 4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전날 정의용 외교부 장관과 첫 전화 회담 내용을 설명하면서 사도광산 문제에 대해 "냉정하고 정중한(신중한) 논의를 진행할 생각이고 한국 측과도 성실하게 논의해 나갈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그간 '외면전략'으로 일관해왔던 기존의 일본 정부 행보와는 대조적인 분위기다. 일본 정부는 2018년 10월 일제 강점기 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와 관련해 일본 기업 책임을 인정한 한국대법원 판결이 나온 뒤 사실상 한국 정부와 대화를 회피하는 '외면전략'으로 일관했다.

지난해 11월 기시다 후미오 내각에 합류한 하야시 외무상은 같은 해 12월 영국 리버풀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외교·개발 장관 회의 당시 이 회의에 초청됐던 정 장관과 정식 회담을 피하고 선 채로 잠깐 대화하는 것에 그쳤다. 이후에도 미국과 호주 인도, 유럽 주요국과는 활발하게 전화 회담도 했지만, 정 장관과는 통화하지 않았다.

하지만 사도광산 사태가 불거진 후인 지난 3일 정 장관에 통화를 요청해 첫 전화 회담을 하는 등 이전과 다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산케이는 일본 정부가 그간 피하던 '한국과 대화'를 갑자기 중시하는 태도로 돌아선 것은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한국과의 냉정하고 정중한 논의를 하는 자세를 강조하려는 의도"라고 풀이했다.

한국 정부는 강제노역 역사를 외면한 채 일본이 사도광산의 등재를 추진하는 것에 반대한다는 뜻을 명확히 밝히고 있지만, 일본 정부는 사도광산 관련 조약이 강제노역에는 해당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다만 집권 자민당 내부에서는 한국 대통령 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이런 일본 정부의 변화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나온다고 산케이는 전했다. 극우 보수파로 분류되는 사토 마사히사 자민당 외교부회 회장은 5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현시점에서 한일 양자 회담은 "일본 국익 상 마이너스"라며 회담하더라도 한국 대선 이후로 미뤄야 한다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