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고채 3년물 금리 오전 중 2.117%...41개월 만의 최대치

입력 2022-01-17 13:0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최근 1년 국고채 3년물 금리 그래프. (사진 =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

국고채 3년물 금리가 오전 중 2.11%대를 돌파했다. 이는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지난 주 14조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편성 발표 영향으로 해석되는 가운데 증권가에선 향후 결정되는 추경 규모가 이를 웃돌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국고채의 변동성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17일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이날 오전 기준 국고채 3년물은 전 거래일 대비 0.073%포인트 오른 2.117%를 기록했다.

국고채 3년물 금리가 장 중 2.117%를 기록한 건 2018년 8월 2일(장 중 2.119%) 이후 41개월 15일 만에 역대 최대치다. 이날 국고채 3년물 금리 상승세가 꺾이지 않고 2.12%대로 장을 마친다면 2018년 8월 1일(2.124%) 이후 처음으로 세우는 기록이 된다.

이 밖에 같은 날 국고채 5년물 금리(2.331%), 10년물(2.552%), 20년물(2.508%), 30년물(2.440%) 등도 일제히 상승세를 나타냈다.

이날 국고채 금리가 상승세를 나타낸 건 단연 적자국채를 이용한 추경 편성 소식 영향으로 해석된다.

홍남기 부총리는 지난 14일 14조 원 규모의 추경을 편성한다고 밝혔다. 통상 추경 재원은 초과 세수 활용과 적자국채 발행을 통해 마련되는데 현행법상 초과 세수는 4월 결산 이후에나 사용 가능한 점을 고려해 기금재원 동원을 제외하곤 상당 부분을 적자국채 발행으로 충당한다는 입장이다.

적자국채란 정부가 수입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으로 국채 발행 물량이 늘면 그만큼 국채값은 떨어지는 동시에 국채 금리는 오른다.

그러나 정부가 발표한 추경 규모와 대선 후보 의견간 간극이 있어 심사 과정에서 증액이 이뤄질 수 가능성이 제기된다. 즉 현재 알려진 규모보다 적자부채를 더 많이 발행할 수 있다는 뜻이다.

실제로 홍 부총리의 추경안 발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정부의 추경 14조 원 편성이 지나치게 적어서 매우 안타깝다”며 “심사 과정에서 대대적인 증액이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역시 “추경을 50조 원 안쪽으로 편성해 피해 정도에 따라 충분한 지원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자영업자 한 분당 300만 원 지원은 말도 안 되고 훨씬 큰 규모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증권가 역시 정부와 대선 후보 간 추경 규모 의견을 조율하는 상황에서 더욱 증액될 수 있다는 의견이 있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추경 규모는 14조 원보다는 많은 10조 원대 후반~20조 원대 초반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며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여당 후보(25~30조 원)와 정부(14조 원)가 생각하는 추경의 적정 규모가 상이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후보의 의견도 중요할 수 있겠지만 최근 2년간 급증한 부채 규모 역시 무시할 수 없다”며 “양측의 중간 선에서 추경 규모가 결정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